[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신약 물질 개발에 인공지능(AI)이 활용된다. 디지털 트윈 기술로 실제와 같은 실험 플랫폼에서 실험과 연구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연구·개발(R&D) 과정에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기술혁신을 가속화하는 '연구개발 디지털화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촉진방안을 통해 과기부는 인공지능, 연구 빅데이터 등을 바이오, 소재, 기계시스템 등 연구개발 전반에 도입하는 융합연구를 활성화한다. 난치질환 진단, 신소재 구현, 기후변화 예측 등 실질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융합연구 선도프로젝트에 2027년까지 2000억원을 투자하며 인공지능 로봇 소재 연구실 등 첨단 스마트실험실을 구축 및 확산하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연구개발 디지털화 촉진방안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9.20 biggerthanseoul@newspim.com |
분야별 디지털 융합연구를 고도화하기 위해 본 전략을 기점으로 바이오, 소재 등 연구 분야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화 촉진 전략을 순차적으로 수립한다. 올 하반기께 디지털 바이오 R&D 혁신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 중에 연구장비 기반 실험데이터 공유·활용 활성화 전략과 나노·미래소재 연구데이터 활용 활성화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디지털화의 핵심인 연구데이터의 수집부터 공유 및 활용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인체 유래물 데이터, 위성 관측 데이터 등 연구자의 활용 수요가 높은 연구데이터를 추가로 확보한다. 데이터 품질 고도화를 위해서는 연구데이터 품질선도센터를 설치·운영하는 등 품질관리체계를 확립한다.
단백질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항체 설계 및 질병 진단, 소재 데이터 기반 합성 가능성 예측 등 연구데이터 분석모델을 2027년까지 40개 이상 개발 및 확산한다. 원격 실험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 가상 실험환경도 양자역학 등 10개 연구분야에 대해 구축할 계획이다.
디지털 역량을 겸비한 핵심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연구기관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등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도 확대한다. 연구자 대상 인공지능 역량강화 교육을 확대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석·박사 과정 학생들이 디지털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연구기관의 연구지원 방식을 디지털화해 연구자의 연구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 연구행정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통합하고 연구행정 근접지원 AI 챗봇 개발, 연구행정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지능형 연구지원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오태석 과기부 1차관은 "단백질 구조 해석에서부터 반도체 설계, 소재 개발에 이르기까지 기존 연구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디지털 기법을 접목한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번 전략을 계기로, 연구자와 함께 디지털 연구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