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계열사 살리기 나선 롯데그룹, 자금마련 막바지 '총력전'

기사등록 : 2022-12-23 14: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롯데지주·물산, 케미칼 유증에 5300억원 투입
건설, 2500억 회사채 발행, 케미칼이 지급보증
건설, 내외부서 2.5조 실탄 마련...고비 넘겨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와 롯데건설 채무 상환을 위한 롯데그룹의 자금 조달 작업이 막바지에 달했다. 롯데지주와 롯데물산이 롯데케미칼 유상증자에 5300억원 가량을 투자하기로 했고, 롯데건설도 신동빈 회장을 비롯한 계열사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올해 만기 도래하는 PF발 금융 위기는 벗어났다는 관측이다.

23일 롯데그룹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지주와 롯데물산의 롯데케미칼 유상증자 투자 규모가 확정됐다.

롯데케미칼 최대주주인 롯데지주는 롯데케미칼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식 210만5692주를 3011억원에 추가 취득한다고 전날 공시했다. 롯데케미칼 2대 주주인 롯데물산은 롯데케미칼 주식 164만5682주를 2353억원에 추가 취득한다.

이에 따라 롯데케미칼 지분율에도 변화가 생긴다. 롯데지주의 지분율은 25.59%에서 24.61%로, 롯데물산은 20.00%에서 19.23%로 각각 낮아진다.

롯데월드타워 전경 [사진=롯데]

9.30%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일본 롯데홀딩스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 롯데홀딩스는 지난달 롯데건설의 유상증자에는 참여한 바 있다. 당시 롯데홀딩스는 롯데건설에 33억원을 투입했다.

롯데케미칼은 유상증자로 조달한 1조1000억원을 국내 2위 동박 제조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와 운영자금으로 사용한다.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자금에 필요한 금액은 지분 53%를 인수하기 위한 2조7000억원이다. 롯데케미칼은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포함해 1조원은 내부자금으로 조달하고, 나머지 1조7000억원은 금융권을 비롯한 외부 자금으로 조달하기로 했다.

이날 롯데케미칼은 롯데건설에 2500억원 규모의 공모 회사채에 대한 지급보증을 제공하기로 결의했다.

롯데그룹은 만기가 도래하는 PF 대응을 위해 자금 마련에 나서고 있는 롯데건설 지원에 계열사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롯데건설은 이번 회사채 발행 자금도 모두 채무상환에 사용할 예정이다.

롯데건설은 최근 한 달간 모두 세 차례에 걸쳐 은행권에서 모두 4500억원을 빌렸다. 하나은행에서 2000억원,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에서 1500억원, 케이비그린에너지제일차 유한회사에서 1000억원이다.

세 차례 계약에서 모두 롯데물산이 자금보충약정 계약을 체결했다. 롯데건설이 빌린 돈을 갚지 못할 경우 롯데물산이 롯데건설에 돈을 차입해 주는 계약이다. 자금보충약정 규모는 모두 5300억원이다.

지난달 롯데건설 유상증자에는 신동빈 회장을 비롯해 롯데케미칼과 호텔롯데, 일본 롯데홀딩스가 참여했다. 롯데케미칼과 호텔롯데이 각각 876억원, 861억원을, 일본 롯데홀딩스가 33억원을 투입했다. 신 회장도 약 12억원 가량을 투입했다. 롯데건설은 유상증자에서 모두 1782억원의 자금을 수혈했다.

직접 자금을 대여해 준 계열사들도 있다. 롯데케미칼(5000억원)과 롯데정밀화학(3000억원), 롯데홈쇼핑(1000억원)은 직접 자금을 대여해 모두 9000억원을 지원했다.

롯데건설이 최근까지 내외부에서 조달한 자금은 모두 2조5000억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롯데건설의 이달 말 만기가 도래하는 PF 규모는 4800억원이다. 내외부에서 조달한 자금과 자체 자금으로 연내 PF발 금융 위기는 모면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내년 1분기에만 도래하는 PF 만기 규모만 3조5000억원 규모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그러면서 나이스신평은 지난 20일 롯데건설의 장기신용등급 등급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부정적(Negative)으로 하향 조정했다.

나이스신평 측은 "적극적인 현금유동성 확보로 단기적인 유동성위험 상황에 대응했으나, 이 과정에서 회사의 재무부담은 크게 가중된 상황"이라며 "향후 금융시장 경색 완화 시 우량 사업장을 중심으로 PF 차입금 차환 상황이 개선될 수 있으나 건설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과거 대비 높은 재무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syu@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