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불법 대북송금으로 논란에 휩싸인 쌍방울그룹이 추진하려던 남북 협력사업에 북한 대동강 맥주 국내 독점권 확보 건이 포함돼 눈길을 끌고 있다.
800만 달러의 거액을 북한에 건네는 데 핵심 연결고리 역할을 한 안부수 아태협 회장이 2018년 5월 북한으로부터 대동강맥주 사업권을 따냈고, 서울에서도 북한 대표 맥주맛을 볼 것이란 기대에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는 게 경협 업계의 관측이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 대동강맥주. [사진=포린트레이드] 2023.02.06 yjlee@newspim.com |
남북 경협 업체의 A 대표는 "그해 2월 평창 동계올림픽 때 대동강맥주를 들여오려던 계획이 무산됐지만 곧바로 안 회장 측에서 북한과 계약을 따냈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말했다.
불법 송금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도 2018년 10월 두 차례 방북한 이화영 당시 부지사가 북측 김영철 아태평화위원장(노동당 통일전선부장)으로부터 "앞으로 사업관련 문제는 안부수 아태협 회장을 통해 상의하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로 안 회장이 북한 대남라인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처럼 대동강맥주는 김정은 체제 들어 남북경협 사업에서 최대 이권으로 꼽히며 주목받아 왔다.
김일성⋅김정일 집권 시기 옥류관 서울 분점이 화두였다면 김정은 시대에는 대동강맥주로 대체된 것이다.
비공식적으로 국내 반입된 맥주를 맛본 애호가들 사이에 입소문이 나면서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 북한식당에서도 우리 관광객이 대동강맥주를 찾는 사례가 늘었고, 일부는 짐가방에 넣어 반입하는 일도 있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지난 2016년 평양에서 열린 대동강맥주 축제. [사진=블룸버그] 2023.02.06 yjlee@newspim.com |
북한도 대동강맥주를 김정은 정권의 이미지를 선전하는 소재로 삼았고,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맥주로서의 모습을 부각하고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북한이 지난해 유엔 산하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에 등록한 국제 상표 6건 가운데 맥주 브랜드 '대동강'(TAEDONGGANG)이 평양냉면집 옥류관과 함께 올라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동강맥주는 김정은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1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의 한 맥주 공장을 돌아본 후 "우리도 세계 최고급 맥주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시한데 따라 만들어졌다.
자체 생산에 어려움을 느낀 북한은 문을 닫은 180년 전통의 영국 어셔즈(Ushers) 양조장을 그대로 사들여 평양으로 실어갔다.
2002년 6월 문을 연 대동강맥주는 백두산 지역인 양강도 호프를 이용해 만들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평양을 중심으로 중상위층 주민에게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대동강맥주 TV광고.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3.02.06 yjlee@newspim.com |
북한TV 최초로 자본주의 방식과 비슷한 광고를 내보내기도 했다. 하루 일을 끝낸 노동자가 대동강 생맥주 한 잔으로 피로를 잊는다는 내용이다.
대동강맥주는 한국 맥주업계에 굴욕을 안겨주기도 했다. 세계적인 여행 전문잡지 등에 "한국의 맥주는 정말 맛이 없다"는 글이 실렸고, 2012년에는 영국 이코노미스트 서울 특파원 다니엘 튜더가 "북한 대동강맥주에 비하면 한국의 맥주는 맛이 형편없다"고 혹평하면서 대동강맥주의 주가는 치솟았다.
북한의 대남라인이나 노동당과 군부의 경협 관련 부서는 물론 최고위층까지도 대동강맥주에 대한 남측의 독점권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자 이권에 관심을 보이는 분위기였다는 게 경협관계자들의 귀띔이다.
하지만 대동강맥주를 국내에 반입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는 게 통일부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대북제재 상황에서 북한에 현금이 건네지는 교역은 엄격하게 금지돼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안부수 아태협 회장 측이 북한과 독점계약을 맺었다 해도 실제 반입이 성사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 대동강맥주 생산라인. [사진=평양타임스] 2023.02.06 yjlee@newspim.com |
대북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북한에 대가로 달러가 아닌 식량이나 의약품 등을 주는 '인도주의' 방식의 거래도 가능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큰 이득도 챙기지 못하고 북한의 어려운 사정만 드러낼 사업 방식에 동의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반입이 이뤄진다 해도 핵과 미사일 도발, 무인기 침투 같은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 체제에 대한 반감이 높아진 상황이라 정상적인 유통이나 판매가 이뤄지기 쉽지 않을 것이란 말이 나온다.
결국 서울에서 대동강맥주 맛을 즐기려면 북한 비핵화나 김정은이 도발을 단념하고 민생을 챙기는 쪽으로 정책을 선회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란 얘기다.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