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부동산

"지금이라도 잡아야 하나" 버티는 집값-늘어난 거래량-미분양 감소

기사등록 : 2023-04-14 15:4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집값 경계감에도 급매물 소진, 매도호가 상승
송파·동작 및 세종시 집값 상승반전...'바닥론' 제기
경기둔화 가능성, 고금리 기조 등에 신중론 지적도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주택시장에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불확실성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집값 반등의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 집값은 일단 하락을 멈춘 모양새며 거래량도 늘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주택시장 불황의 대표적 지표인 미분양 물량도 증가폭이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최근 주택시장과 관련한 지표는 '갈팡질팡'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들어 하락폭이 커졌다가 줄기를 반복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상승 반전하기도 했다. 매수심리 불안에도 금리인상 중단, 규제완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을 보인다. 이에 따라 집값이 방향성을 잃고 혼조세를 보이면서 추가 하락을 기다리던 무주택자들이 지금이라도 추격 매수에 나서야 할지 고민이 커진 것이다.

◆ "집값 더 떨어진다는데..." 시세·거래량 회복 지속

1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택시장이 추가적인 가격 조정 예상에도 버티는 모습을 나타내자 주택 매수를 고민하는 실수요자가 늘고 있다.

우선 주택 거래량이 최악의 국면은 벗어나는 모양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작년 12월 835건에 불과했으나 올해 1월 1417건, 2월 2461건에서 3월에는 2626건으로 더 늘었다. 급매물 소진으로 매도호가가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일부 추격 매수가 이뤄진 것이다.

미분양 주택의 증가폭이 둔화했다. 지난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7만5359가구) 대비 0.1%(79가구) 증가한 7만5438가구로 조사됐다. 작년 하반기 이후 매달 10% 안팎 증가하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 주체가 한풀 꺾인 것이다. 전매제한, 거주의무기준 등 분양 아파트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새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집값도 하락장이 본격화하던 작년과 달리 하락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거 여건이 좋고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플러스 전환하기도 했다. 세종시는 최근 4주 연속 아파트값이 올랐고, 서울에서는 송파구와 동작구가 상승 반전했다.

이렇다 보니 집값이 추가 하락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한 상황에서도 매수 심리가 소폭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4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8.3으로 전주(77.3) 대비 1.0포인트(p) 상승했다. 작년 11월 이후 매매수급지수는 60을 맴돌다 4개월 만에 80을 목전에 두게 됐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선(100)보다 수치가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뜻한다. 매수자 우위 시장이 이어지고 있지만 작년과 비교하면 매도자의 열세 시장이 크게 회복한 상황이다.

송파구 문정역 주변 A공인중개소 대표는 "헬리오시티의 경우 작년 하반기 월별 20여건에서 최근에는 40여건으로 거래량이 늘었다"며 "급매물이 빠르게 소진되다 보니 시세보다 저렴한 매물을 지금이라도 잡아야 하는지 고민하는 실수요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둔화, 고금리 기조 등에 '신중론' 여전히 우세

주요 지역의 집값이 급매물 소진 이후 매도호가가 상승하고 있지만 추격 매수보다는 좀 더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부동산 정책의 주요 방향을 결정하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잇달아 집값 '바닥론'에 강한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원 장관은 "PIR(소득대비 주택가격 배율)이 18배까지 갔던 것은 비정상이라고 본다"며 "올해 연말까지는 집값이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PIR은 주택 가격에서 연 가구 소득을 나눈 값으로, 지난해 서울의 PIR은 18배까지 치솟았다.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주택 거래량이 평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급감한 상태다. 2년전 서울 아파트의 거래량은 월별 3000~4000건을 기록했다. 최근 거래량이 소폭 회복했다곤 하지만 예년과 비교하면 30% 안팎 줄어든 수치다.

경기둔화가 현실화하면 주택시장에도 악재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소득, 소비, 투자, 고용 등 실물경기가 위축되면 자산 및 가처분 소득이 줄어 집을 매수하고 싶어도 정작 실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대출금리 인상 속도가 꺾였고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택시장이 소폭 개선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평년과 비교해 거래량이 여전히 부진하고 경기둔화 우려, 고금리 기조 유지 등의 불확실성이 커 집값 '바닥론'을 거론하기 이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leedh@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