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BTS(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 등 'K-팝(케이팝)'으로 대표되는 '한류'란 무엇일까? 한류는 문화현상일까, 산업일까?
국내 한류 연구의 최고 전문가 중 한명으로 손꼽히는 심두보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서구에 의해 지배되어 온 국제문화 흐름의 구조를 뒤흔드는 문화 실천인가, 아니면 실체가 부풀려진 환상 가득한 '국뽕'의 신기루인가"라는 화두를 던진다.
심두보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가 펴낸 <한류가 뭐길래> 표지. 2024.01.02 [이미지=어나더북스] |
심 교수는 오는 4일 출간하는 '한류가 뭐길래'(어나더북스 펴냄·1만8000원)라는 책에서 "이 책은 한류라는 특정 현상이 문화에 관해, 국제관계에 관해, 그리고 인문지리적 상상과 관련해 우리의 사고를 자극하는 '방법론'이자 '생각의 곳간'이라는 관점을 지닌다"고 말했다. 부제는 '글로벌 문화변동과 K-컬처의 진화'다.
그는 "이 책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주요 담론인 한류를 인문주의의 태도로 고찰하고, 문화 연구와 미디어 연구의 관점에서 사유하고 응시한다"며 "그러자니 문화와 산업, 근대성과 전 지구화, 대중문화와 소프트파워, 젠더와 인종, 팬덤과 문화소비, 민족주의와 혼종성 등 여러 개념과 주제를 다룬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류의 현재 모습을 이해하고 미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과거로부터 누적돼 온 문화와 산업의 궤적을 짚는다. 이를 통해 한류의 여러 국면과 한류에 관한 다양한 시선을 정리하고 새롭게 펼쳐 보인다"고 부연했다.
저자의 말대로 '한류가 뭐길래'는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라는 정의를 기준으로, 한류의 '복합 요인성', 한류의 '위치성', 한류의 '관계성', 한류의 '혼종성'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한류를 설명한다.
어려운 개념들이 나열되니 어렵게 느껴진다고? 심 교수는 "필자조차도 대학생 시절에 난삽한 학술서의 폐해로 인해 '고통'을 받았던 경험이 있다"며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끔 이 모든 개념을 쉬운 언어와 친숙한 에피소드에 담았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등을 통해 한류와 이문화 간 '관계성'에 주목한 것이다.
저자는 "사실 해외 현지에 먼저 진입한 유사한 성격의 타국 문화가, 그리고 기대하지 않았던 문화 매개자가, '징검다리'가 되어 한류의 확산에 기여했다"며 "1990년대 초반부터 한국 드라마가 수출되었지만, 비로소 1997년 '사랑이 뭐길래'가 한류의 기폭제가 된 이유 중 하나는 중국 국영 CCTV 방송이 고용한 실력 있는 조선족 번역자들이 심혈을 기울여 드라마 텍스트를 번역했기 때문"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2000년대 초반,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여성 팬들은 대만 드라마 '유성화원(流星花園)'을 시청하고 난 후에야 비로소 비슷한 외모의 한국 남성 배우들을 좋아하게 되었다고 속내를 밝혔다"며 "2006년 브라질에서 '겨울연가'가 갑자기 인기를 끌게 된 이유는 일본사회를 경험하고 돌아온 브라질의 일본인 3세들이 일본의 '겨울연가' 인기를 전달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유럽에서도 한류 팬 다수는 원래 일본문화 팬이었다가 한국문화를 좋아하게 된 사람들"이라며 "일각에서는 이를 '한·일전 승리'로 해석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한·일 문화 모두를 애호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러한 예시가 드러내는 이문화 간 '관계성'과 '징검다리 효과'를 깨닫지 못하면 한류로부터 얻어낼 것은 '국뽕'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심 교수는 "저는 한류가 산업적 효과 이상의 효능을 지닌다고 생각한다"며 "그중 하나는 한류라는 흐름에 얹혀 우리에게 되돌아오는(還流) 의식과 태도이다. 타국에서 한국 대중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듯이, 이제는 한국인이 인종적 감수성과 포용성을 강화해 타문화에 더욱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