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1-19 10:15
[서울=뉴스핌] 김윤희 기자 =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19일 오는 4월 총선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 검증 과정에서 '친명(親이재명) 공천' 논란이 불거진 데 관해 "그게 무슨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공천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는 거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잣대도 많이 흔들렸다는 그런 비판이 나오지 않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외 인사들을 포함한 친명계가 비명계 현역 의원의 지역구에 속속 출사표를 던지며 '자객 공천' 지적이 제기된 것에는 "언어도단이다. 공정하게 경쟁을 붙이는 건데 왜 자객공천이라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표했다.
김 전 총리는 이와 관련 "맥락을 모르니까 함부로 폄하할 순 없지만 지금까지 예비후보 검증위원회 과정을 통해 조금 납득하기 어려운 조치가 있었지 않나"라고 평가했다.
또 김 전 총리는 '당에서 선거와 관련해 일정한 역할을 요구하면 응하실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전 아직도 민주당원이지 않나. 선거라는 게 총력으로 에너지를 모아야 되니까, 힘 좀 보태주세요 그러면 제가 그걸 어떻게 외면하겠냐"고 에둘러 답했다.
하지만 "그러려면 당이 뭔가 변화와 혁신, 국민의 기대 수준을 따라가겠다는 의지나 실행을 보여줘야 될 텐데, 또 그런 모습이 보여져야 그 과정에서 저도 제 역할을 고민할 텐데 현재까지는 그런 모습이 안 보이는 것 같다"고 조건을 붙였다.
지난달 자신이 이 대표로부터 통합선거대책위원장 제안을 받았다는 보도에 관해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지난 12월에 이 대표를 만났을 때는 그런 얘기를 할 단계가 아니었다"고 부정했다.
김 전 총리는 현재 논의가 지연되고 있는 선거제 문제에 "우리 당이 현재의 원칙 연동형 비례제로 간다는 큰 대전제를 빨리 결정지어줘야 그에 따른 후속 작업들이 이루어지지 않겠냐"고 피력하기도 했다.
그는 "사실 여야 1, 2당들이 그동안 국민의 지지보다 더 많은 의석을 가져갔지 않나. 의회 내에서 중간 조정자 역할을 할 그룹은 없고 계속 정쟁만 했다"라며 "그게 국민 불신으로 귀결되고, 그걸 막아보자고 도입한 것이 이 연동형 혹은 준연동형 비례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걸 가지고 조금 귀찮다, 복잡하다는 이유 때문에 다시 되돌아간다는 건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며 "빨리 민주당 지도부가 이건 안 된다, 지난번 약속한 대로 가고 위성정당 문제는 분명히 국민에 대해서 배신행위이기 때문에 안 된다 이런 원칙은 빨리 천명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동형 유지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지난 대선 때 우리 당의 후보셨던 이재명 대표뿐만 아니라 전체 의원들이 선거 중단하고 와서 약속했지 않나"라고 부각했다.
yunhu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