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불황 직격탄' HMM, 재매각 빨라야 내년?

기사등록 : 2024-02-15 14:2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SCFI, 1년 만에 71% 감소…해운업 불황 지속될 듯
실적 부진·시장 상황 맞물려…재매각 빨라야 내년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HMM은 해운업 불황 직격탄을 맞았다. 1년 만에 영업이익이 급감한 데다 업황 특성상 단기간 실적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HMM의 새 주인 찾기도 빠른 시간내 진행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예상이다. 새 주인 찾기는 내년쯤 재개할 것으로 관측된다. 

HMM 컨테이너선이 미국 LA 롱비치항에서 하역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HMM]

15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은 1년 만에 영업이익이 94%나 줄었다. HMM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5849억원이다. HMM의 영업이익 급감은 컨테이너선 운임 하락 영향이 크다. 컨테이너선 15개 항로의 운임을 종합한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2년 평균 2410을 기록했지만, 지난해는 평균 1006으로 집계됐다. 약 71%나 하락한 것이다.

특히 HMM은 컨테이너선 비중이 높은 선사다. 컨테이너선이 매출의 90%를 담당하고 있어 SCFI 하락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HMM 관계자는 "수요 둔화 및 공급 정상화에 따라 아시아~미주노선을 비롯해 유럽 등 전 노선에서 운임 하락이 지속됐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장기적인 운임 약세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본다. 최근 홍해 이슈로 수에즈 운하 선박 통항이 제한되면서 SCFI가 상승하는 추세지만, 선박 공급 과잉 사태가 본격 시작되기 때문이다.

싱가포르 해운전문 조사분석기관인 라이너리카(Linerlytica)에 따르면 올해 12월까지 인도 예정인 신규 선복량 370만TEU다. 이 가운데 상위 7개 선사 비중이 65%나 차지한다. 글로벌 선사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코로나19 시기 수준의 운임 반등은 어려울 수 있다.

여기에 대외 불확실성도 크다. 중국의 경기 회복 지연을 비롯해 세계적인 소비 위축, 러-우 전쟁, 중동 분쟁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어서다.

부진한 실적과 불안정한 업황이 맞물려 당분간 HMM의 재매각 추진은 어려울 전망이다.

매각 주체인 KDB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하림·JKL컨소시엄이 제시했던 수준의 인수대금을 원할 것이 예상된다. 컨소시엄은 당시 6조4000억원을 인수대금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새로운 인수 후보자는 HMM 실적 부진과 어두운 해운업 전망을 이유로 훨씬 낮은 금액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영구채 문제도 남았다. 산은과 해진공은 1조6800억원 규모의 영구채를 보유했다. 중도 상환일이 순차적으로 돌아오는 내년까지 영구채는 HMM 주식으로 전환된다. 하림 컨소시엄 역시 이 부분에 대해 합의하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영구채 문제를 해결해야 인수 후보자 찾기가 수월하다. 매각 측 역시 이 부분을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져 업계에서는 이르면 내년쯤 재매각 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본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업황 전망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 재매각이 생각보다 어려울 수 있다"며 "빨라야 내년이 돼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HMM은 매각 과정과는 별개로 실적 개선에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일단 초대형 선박 투입으로 원가 절감에 나선다. HMM은 지난 2021년에 발주한 1만3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12척을 올해 인수한다. 이 경우 선복량은 총 100만TEU 수준에 이른다.

HMM 관계자는 "매각 과정과는 별개로 중장기 추진전략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노력을 지속해왔다"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체질 개선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ayki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