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의료대란 초읽기' 수술 앞둔 환자 '조마조마'…"대기가 길어졌어요"

기사등록 : 2024-02-19 14: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세브란스 전공의 하루 먼저 파업
20일부터 빅5 전공의 진료 중단
환자들 "수술 연기될까 조마조마"
정부 비상진료 체계 가동 '강경'
의료 공백 장기화도 우려돼

[서울=뉴스핌] 노연경 기자= "위급 상황이란 게 언제 생길지 모르는데 의료공백 피해 보진 않을까 걱정된다."

올해 봄부터 서울 신촌세브란스 산부인과로 진료를 다닐 예정인 김모(34) 씨는 전공의 파업 소식을 듣고 걱정이 깊어졌다.

세브란스에서 출산하기 위해 2개월 전부터 예약 대기를 하다 어렵게 초진을 잡았는데, 전공의 파업이 장기화하면 김씨도 의료공백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19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지난 16일 '빅5' 병원 전공의 대표들과 논의한 결과 이날까지 해당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 이후에는 근무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세브란스병원은 이미 오는 19일 전공의의 총파업을 가정한 채 내부에서 수술 스케줄 조정에 착수한 상태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의 모습. 2024.02.19 pangbin@newspim.com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신촌 세브란스 소아청소년과 1~3년차 전공의 일부는 이날 오전 7시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이른바 '빅5'라고 불리는 병원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해 오는 20일부터 파업에 들어가는 가운데 세브란스 전공의들은 이보다 하루 앞서 파업에 들어간 것이다.

소아청소년과 외 다른 전공의도 일부 파업에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의료공백은 이미 현실로 벌어졌다. 병원 측은 이날부터 소아청소년과뿐 아니라 전체 과 수술이 절반 정도만 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밟고 있는 전공의의 파업이 교수 외래진료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날 세브란스에서는 외래진료 지연도 일부 빚어졌다.

세브란스 어린이병동에서 만난 이지은(33) 씨는 "30분 넘게 기다리고 있다"며 "오늘이 재진인데 초진 때와 달리 대기가 길어지고 있다. 병원 측에서 의료진 부족으로 대기가 길어질 거라고 안내했다"고 말했다.

오는 20일부터 '빅5' 병원 전공의의 파업이 현실화하면 입원과 수술 지연 등 의료공백은 더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빅5 병원은 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을 말한다.

이에 암환자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수술 지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커뮤니티에는 '수술 지연 연락이 올까 조마조마하다', '이번 (파업) 사태로 수술이 연기될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는 등의 글이 올라왔다.

전국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약 1만 3000명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6일 오후 6시 집계한 수치에 따르면 현재 전공의 수 상위 수련병원 100곳 중 23곳에서 7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들 중 실제로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 전공의 103명에게는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앞서 2020년에도 정부와 의료계는 의대 증원을 두고 충돌했다. 당시에는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한 비상 상황을 막기 위해 한 발 물러섰지만, 이번에는 정부도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의료공백 장기화도 우려된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에게 진료유지명령을 발령했다. 의료법 59조에 따르면 복지부 장관은 보건의료정책을 위해 필요하거나, 국민보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다.

정부는 또 이날부터 집단행동이 끝날 때까지 공공 의료 기관의 비상진료 체계를 가동하고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를 운영해 의료공백에 대한 피해도 지원한다.

정부와 의료계의 충돌은 정부가 의대 정원을 2000명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불거졌다. 응급실이나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진료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의료계는 무분별한 증원보다는 필수진료 과목에 대한 수가 현실화 등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yk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