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中 쉬인, 자라·H&M 제치고 패스트패션 세계 1위 등극

기사등록 : 2024-04-09 13: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15년 사업 시작, 8년 만에 매출액 450억달러
지난해 처음으로 자라 매출액 추월
올해 상장 추진...기업가치 1000억달러 전망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변화하는 유행과 소비자 수요를 빠르게 반영해 의류를 디자인해 대량 생산하고 경쟁력 있는 가격에 판매하는 패션 산업을 '패스트패션'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스페인의 자라(ZARA), 스웨덴의 H&M, 일본의 유니클로, 미국의 갭(GAP) 등이 있다. 이들은 대규모 유통망과 함께 각자 디자인 역량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에서 SPA(Store Retailer of private Lavel Apparel)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분야에서 중국의 업체가 글로벌 기업들을 넘어서서 세계 1위에 올랐다. 그 업체의 이름은 쉬인(SHEIN)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큰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지만, 최근 중국의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가 우리나라에서 인기를 끌면서 쉬인 역시 동반해서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다.

쉬인은 글로벌 1위 패스트패션 기업에 올라섰지만, 중국에서는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자라, H&M, 유니클로, 갭 등의 기업들은 중국에서 매장을 갖추고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쉬인은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의 매출액만으로 글로벌 경쟁자들을 물리친 '기록적인' 성과를 낸 것.

쉬인은 지난해 매출액 45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로써 쉬인은 자라의 모기업인 인디텍스의 매출액을 넘어서며 이 분야 1위기업에 등극했다.

◆ 5년만에 매출액 약 40배 폭풍성장

쉬인의 매출액은 2018년 12억달러, 2019년 23억달러, 2020년 94억달러, 2021년 160억달러, 2022년 230억달러로 고성장을 기록해오고 있다. 약 5년 만에 40배 가까운 매출성장을 이뤄낸 것이다.

자라의 모기업인 인디텍스의 지난해 매출액이 389억달러였고, H&M의 매출액은 230억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유니클로의 매출액이 190억달러로 4위, 갭이 156억달러로 5위였다. 불과 5년 사이에 쉬인은 '기라성' 같은 글로벌 패스트패션 대기업을 하나 하나 물리치고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시장조사기관 코어사이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쉬인은 전 세계 패스트패션 시장점유율 18%를 기록했다. 이어 인디텍스가 17%, H&M이 5%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쉬인은 지난해 순이익도 2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180% 증가한 것이다. 쉬인의 순이익은 2021년 11억달러, 2022년 7억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쉬인의 순이익 규모는 아직 자라의 모기업인 인디텍스(58억달러)에는 미치지 못한다.

쉬인의 주요 매출처는 미국과 유럽시장이다. 쉬인의 앱은 2018년부터 미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며, 이제는 유럽에서의 사용자가 더욱 많아졌다. 시장조사기관 데이터닷에이아이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에서 쉬인 앱의 월간 사용자수가 전년대비 2배 증가한 6550만명에 달해 기타 지역의 사용자를 압도했다.

◆ 올해 상장 준비 중...기업가치 1000억달러 전망

쉬인은 현재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 거래소 상장을 우선적으로 계획하고 있다. 상장이 이뤄지면 올해 최대 규모의 IPO(기업공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쉬인은 지난해 5월 진행된 투자유치에서 기업가치 600억달러를 산정받았다. 지난해 경영 성과가 좋았던 만큼 쉬인의 기업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방 매체들은 쉬인의 기업가치가 9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매체들은 1000억달러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만약 기업가치 1000억달러를 인정받는다면 상장 과정에서 100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된다. 무려 100억달러의 거대한 자금으로 자체 디자인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세계 각지의 물류망을 촘촘히 구축한다면 쉬인은 그야말로 패스트패션 업계의 공룡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게 된다.

◆ 국제경제 전공한 1984년생 설립자

쉬인의 설립자는 1984년생인 쉬양톈(許仰天)이다. 그는 산둥(山東)성 쯔보(淄博)시에서 태어났으며 칭다오(靑島)과기대학 국제무역을 전공했다.

2007년 대학을 졸업한 후 그는 2008년에 검색엔진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IT회사에 취직했다. 첫 직장이 검색을 주업으로 하는 IT기업이었으며, 당시 익힌 검색 기술은 향후 쉬인의 사업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쉬양톈은 회사를 그만두고 2009년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에서 본인의 회사를 창업했다. 아이템은 중국에서 제작된 웨딩드레스를 해외에 수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이었다. 해외에서 신부들은 웨딩드레스를 대여해서 입지만, 중국의 웨딩드레스는 해외에서의 대여 가격보다 더 저렴하다는 데서 착안됐다.

판매하는 제품이 중국에서 제조된 웨딩드레스인 만큼, 중국 내에서의 사업은 아예 포기하고 해외 시장에만 주력했다. 이같은 사업 방향은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웨딩드레스는 미세한 사이즈 조정이 필요하며 조명의 차이에 따라 분위기 연출이 확연히 달라지는 만큼 인터넷쇼핑 아이템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해외 소비자들의 관심은 높았지만 구매하는 소비자는 많지 않았다. 그는 2012년 그는 웨딩드레스 사업을 포기했다.

◆ 2015년 쉬인 사이트 오픈

그리고 그는 2013년 '쉬인사이드(SHEINSIDE)닷컴'이라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구매했다. 중국의 가성비 높은 의류를 해외에 판매하는 것이 사업 모델이었다. 품목이 웨딩드레스에서 일반의류로 바뀌었을 뿐 기본적인 중국제품 해외판매의 컨셉은 동일하게 유지됐다.

그는 2014년 자체적인 패션 검색 시스템을 개발해 냈다. 전 세계 패션 트렌드를 최대한 빨리 캐치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글로벌 패션 사이트 내 상품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모조리 수집해 모니터링했다. 이는 현재 쉬인의 빅데이터 센터로 발전해 있다.

현재 쉬인은 자체 검색 시스템을 통해 색상, 스타일, 원단, 가격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및 SNS 트렌드까지 수집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쉬양톈은 2015년에 해외직구 인터넷쇼핑몰 시스템을 구축하고 쉬인닷컴 사이트와 앱을 오픈했다. 쉬인은 해외 트렌드를 수집해 그에 맞는 제품들을 중국에서 소싱해 내고, 해당 제품들을 사이트에 올려 해외에 판매했다.

쉬인의 제품은 최고의 가성비를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 쉬인 사이트에는 10달러 이하의 제품들이 주로 노출돼 있다. [사진=쉬인 웹사이트]

◆ 중국제조 가성비에 미중 정책 수혜 더해져

주요 제품들은 중국 광둥성의 의류업체들이 생산한다. 완벽한 공급망을 갖춘 중국 의류업체들은 천문학적인 숫자의 의류를 양산해 중국은 물론 전 세계의 패션업체에 납품한다. 쉬인은 이들 업체의 제품을 전 세계 고객에게 곧바로 연결시켰다. 때문에 쉬인의 제품들은 사업초기부터 가성비가 높았다.

게다가 쉬인은 의류업체 공장이 고객에 직배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체창고를 유지할 필요가 없었으며, 판매지에도 창고를 운영할 필요가 없었다. 주문을 받아서 광둥서 의류업체들에게 배송 지시를 하면 될 뿐이다. 이 같은 모델은 쉬인 제품의 가성비를 더욱 높여줬다.

쉬인은 미국의 정책 수혜를 입었다. 2016년 3월 미국은 800달러 미만의 소액 패키징 수입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소량화물에 대해서 관세를 매기지 않는 것으로, 해외직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냈다. 쉬인은 고객 개개인에게 직접 제품을 배송하는 방식으로 관세를 회피할 수 있었으며, 쉬인 제품의 가성비가 더욱 높아지는 결과로 귀결됐다.

이에 더해 2018년 중국 정부는 DTC(Direct To Customer) 수출기업에 대한 수출세 부과를 중단했다. 수출가격의 13%였던 세금을 감면 받으면서 쉬인의 제품은 추가적으로 가성비가 높아졌다.

사업은 성공적이었다. 사이트와 앱이 출시된지 4년만인 2019년에 매출액 23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정도 매출액이면 대단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쉬인은 이에 그치지 않고 이 때부터 무서운 성장세를 구가하게 된다.

◆ 코로나 기간 급성장, 지재권 소송 어려움 겪기도

2020년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인터넷쇼핑 사업이 대호황을 맞았다. 2020년에는 매출이 4배 증가한 94억달러를 기록하며 전 세계 패스트패션 대기업에게 위협으로 다가왔다.

2021년과 2022년에도 기록적인 성과를 내며 2022년 매출액은 230억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성장률은 둔화됐고 쉬인의 사업이 한계에 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당시 쉬인은 지재권 소송과 인권과 관련된 비판을 받으며 주춤했다. 쉬인은 매일 500건 이상 신제품을 쏟아냈다. 이 중 일부 제품에 대해 경쟁사가 디자인을 도용했다며 지재권 소송을 제기했다. 쉬인은 상대 업체와 합의했지만 소송은 계속 제기됐다. 이에 쉬인은 자체적인 지재권 심의기구를 설치해 자체점검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쉬인의 제품이 신장(新疆)자치구의 면화를 사용한다는 의혹이 일면서 서방세계 소비자들 사이에서 거부감이 조성됐다. 쉬인은 이에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대응하는 한편, 중국 색채를 줄이기 위해 2022년 본사를 싱가포르로 이전했다.

이 같은 작업은 2021년과 2022년 등 2년 동안 이뤄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쉬인은 지난해 무려 두 배 가까운 매출 증가세를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사이트 출시 9년 만에 쉬인은 세계 패션산업을 주도하는 메인 플레이어로 도약해 가고 있다.

중국에서는 영업하지 않는 쉬인은 미국시장과 유럽시장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바이두 캡쳐]

ys1744@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