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ANDA칼럼] 우리금융그룹 경영공백은 안된다

기사등록 : 2024-09-13 06: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前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로 현 경영진 동반사퇴 압박
동반사퇴는 외풍 노출 불가피, 지배구조 또다시 흔들려
공정 인사와 보험·증권사 M&A 등 장기전략 실행 시기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전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이다. 당시 집행부행장인 조병규 행장이 책임지는 건 맞다. 그런데 임종룡 회장이 동반 사퇴해서는 안 된다. 두 명의 CEO(최고경영자)자리가 공석이 되면 우리금융은 경영공백 사태에 빠지고 정치 및 관(官)의 외풍에 흔들릴 수 있다. 임 회장이 우리은행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 

얼마전 만난 우리금융지주 자회사 전 CEO는 임 회장의 조기 사퇴는 우리은행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확신했다. 그는 "관이 우리금융을 너무 흔들면, 외부에서 유력 인사가 우리금융 CEO를 하고 싶어 작업한다는 오해를 준다"고 설명한다. 또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나 주요 주주들의 결정에 맡기는 게 불필요한 오해를 피할 수 있다고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금융을 압박하고 있다. 전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해 "최근의 매니지먼트(경영진의) 책임 있지 않냐"며 경영진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4.09.12 hkj77@hanmail.net

임 회장은 우리은행 사태 진정 모멘텀을 내부에서 찾아야 한다. 우리은행 전신인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출신 간의 보이지 않는 힘겨루기를 차단하는 일이 급선무다. 2023년말 기준 우리은행 임원(임원~본부장) 95명의 계파는 한일과 상업으로 갈린다. 이들이 조직안정 역할을 하도록 독려해야 한다. 한일과 상업 출신을 어떻게 조합할 지가 중요하다. 인사 이후 함정을 피하고 모범사례를 배우고 개인 및 조직적 차원에서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인사 기술을 선보여야 한다.

조병규 행장은 상업은행 출신으로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태로 책임을 지고 있다. 손 전 회장은 한일은행 출신이다. 한일은행 사람 문제를 상업은행이 책임진다는 불만이 나올 수 있다. 특히 손 전 회장과 CEO자리를 다퉜던 권광석 전 행장은 상업은행 출신으로 제대로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차기 행장을 포함한 임원인사를 한일과 상업 양쪽에 불만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느 한쪽의 연고도 없는 임 회장이 명분 있는 인사를 할 수 있다. 

행원들의 사기도 올려야 한다. 영업점 직원들은 '수백억 횡령, 전임 회장의 친인척 부당 대출' 등으로 우리은행을 불안해하는 고객들의 목소리를 매일 듣고 있다. 그래서 "영업점 분위기가 위축돼 있고, 손을 놓고 있는 직원이 많다"는 소리가 들린다. 2024년 상반기 영업이익이 2조602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6% 개선됐지만 2022~2023년은 횡령 등 사태로 기업금융이 매우 부진했던 기저효과 덕분이다. 여전히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등 경쟁사들에 모두 뒤처져 있다.

KB국민은행과는 영업이익 격차가 무려 6000억원가량 된다. 이익이 늘어야 현장의 자신감도 올라간다. 다행인 점은 일선 직원들의 분위기를 주도하는 관리자급(차장, 부장)은 한일, 상업 출신 성분이 많이 퇴색됐다. 전체직원 1만3700여명 중 5370여명이나 된다. 은행 분위기를 바꿀 중요한 존재다. 우리은행 공채 1기(당시 은행명은 한빛은행)인 2001년 신입 행원 중에서 입행 20년이 넘는 부장급 지점장들이 본격적으로 배출되기 시작했다. 

우리금융은 25여년전 한일과 상업은행 합병할 당시는 국내 1등 금융사였다. 현재는 5위권으로 하락했다.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등 삼성금융그룹(상반기 순이익 3조2009억원) 보다도 수익이 적다. 예대마진으로 먹고 사는 우리은행에만 의존하고 증권사는 매각하고 카드사 보험사 등 인수합병(M&A)은 실패한 결과다. 동양생명과 ABL생명 합병을 성공하고 우리투자증권도 성장시킬 장기 전략이 있어야 한다. 과감하고 지속가능한 의사결정을 할 경영진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정책당국과 감독당국도 금융업을 관리감독 대상으로만 여긴 것이 아닌가 봐야 한다. 윤석열 정부 들어 금융업 발전 방안이 없다. 동남아시아, 인도 등 금융사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하고 디지털금융이 성장하는데 정부의 지원책이 보이지 않는다. K금융 육성 시도라도 해봐야 하지 않을까. 

hkj7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