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0-11 17:15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의정 갈등 8개월 만에 열린 의정토론회가 양측의 입장차를 재확인하는 수준에서 끝난 가운데 의료계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도 요원해지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측은 의료계와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 있으며, 국정감사 이후 협의체 출범 준비를 본격화하겠단 입장이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고수하며,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난 만큼 의사 증원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에 의대 교수 측은 과거 데이터를 근거로 들며 의사 수를 늘려도 의사들이 지역으로 가지 않는다며, 의료비 지출이 급속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맞받았다.
익명을 요구한 보건복지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의료계 내부에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와 관련해) 좀더 설득과 합의를 받아서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분들이 계셔서 기다리고 있었다"며 "그런데 전날 토론회에서 의정간 이견차가 생기면서 또다시 의료계가 냉각기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이어 "의정 갈등 상황이 반복되면서 여러모로 어려움에 봉착해 있지만 그래도 의료계는 대화를 하고 싶어한다"며 "(국민의힘 측은) 지금도 필요한 경우 의료계와 계속 소통하고 있다. 정해진 시기는 없으나 최대한 빨리 출범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지난달 30일 브리핑을 통해 여야의정협의체와 관련 "논의를 하더라도 2020년 9.4 의정 합의처럼 버려지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는 신뢰가 있어야 들어간다"고 밝혔다.
'9.4 의정 합의'는 코로나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의대 증원과 공공의대 신설 논의를 중단하며, 이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합의를 말한다.
국민의힘은 오는 25일 국정 감사가 끝난 뒤 본격적으로 여야의정협의체 출범 준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국감이 끝나는대로 추진할 예정이다. 의료계와는 계속 접촉하고 있다"고 했다.
한 대표도 오는 16일 예정된 재·보궐선거 이후 윤석열 대통령과 독대를 통해 여야의정협의체에 의료계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을 내놓는 등 건의사항을 전할 것으로 보인다.
allpas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