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토요타도 보너스 인상 합의… '아베노믹스'에 줄줄이 동참

기사등록 : 2013-03-13 15:2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본급 올리기엔 불확실성 있다 판단한 듯

[뉴스핌=주명호 기자] 일본 토요타 자동차가 노조의 보너스 인상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하면서 제조업계 또한 아베 신조 총리의 임금 인상 요청에 줄줄이 동참하고 있다.

토요타 자동차는 13일 노동조합이 요구한 500% 상여금에 추가로 30만 엔(344만 원)을 인상한 보너스 지급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평균 205만 엔(2350만 원)에 달하는 이번 보너스는 작년보다 27만 엔 오른 액수다.   

이전까지 노조의 요구에 대해서 토요타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하지만 작년 회계연도 별도 운영실적이 5년 만에 흑자로 돌아서면서 직원들에 대한 보상으로 보너스 지급을 결정했다.

이번 도요타의 보너스 지급 결정으로 아베 총리의 임금 인상 요구에 대한 재계의 동참 움직임도 커지고 있다.

가장 먼저 동참한 곳은 대형 편의점업계다. 로손이 보너스 인상에 합의했고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세븐앤아이 홀딩스는 약 5만 명의 직원들의 기본 임금을 높여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아베의 요구에 대해 망설이는 모습을 보였던 제조업계도 임금 인상을 수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요네쿠라 히로마사 게이단렌(經團連) 회장은 " 보너스 및 기타 지급금에 개선된 실적을 반영해야 한다"고 발언해 업계의 임금 인상 물결에 박차를 가했다.

닛산 자동차는 550% 상여금 지급을 결정했고 혼다 자동차 또한 약 590%에 달하는 213만 엔(약 2400만 원)의 보너스 지급에 합의했다. 히타치와 후치중공업도 노조의 지급요구를 승인했다고 일본 매체를 통해 발표했다. 

재계의 이런 움직임은 아베 정권의 공격적인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초 아베 총리가 요구했던 기본금 인상이 아닌 보너스 지급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모습은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상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임금 인상 모멘텀이 지속되려면 일시적인 엔화 약세로 인한 수익이 아닌 지속적인 실적 향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