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4.1 주택대책’ 이후 주택거래 절벽현상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주택은 기대심리 저하로 거래 약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통상 단독, 연립주택은 아파트 거래동향에 후행한다. 아파트 거래가 회복해야 이외의 주택도 살아날 공산이 크다는 얘기다. 더욱이 재개발·재건축 지역이 줄줄이 무산되면서 투자심리도 크게 떨어진 상태다.
15일 서울시 및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15일 동안 서울에서 거래된 단독·다가구 주택은 203건에 그쳤다. 이는 전달 총 거래량(546건)의 37% 수준이다.
지난해 거래량과 비교하면 수치는 더욱 떨어진다. 지난해 4월 거래량(937건) 대비 21%에 불과한 것.
같은기간 다세대·연립주택은 859건이 계약돼 전달 총 거래량의 42%에 머물러 있다. 전년 같은기간(2493건)과 비교하면 34%에 그쳤다. 이달 총 거래량이 전달을 넘어서긴 힘든 분위기다.
이렇다 보니 시세도 약세다. 강남구 일원동 청송빌리지(전용면적 59.7㎡)는 지난해 2월 5억6400만원에 거래되다 지난 1일엔 1억1000만원 내린 4억5800만원에 주인이 바뀌었다.
서초구 반포동 세종빌리지3차(전용 45.1㎡)는 지난해 9월 3억8000만원에서 지난 10일엔 3억4500만원에 계약됐다. 7개월새 3500만원이 빠진 셈이다.
서울 강남구 일원동 미소공인중개소 대표는 “다가구, 연립주택도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일정요건을 갖추면 취득세 감면과 양도소득세 면제를 받을 수 있지만 호재가 비켜간 분위기다”며 “아파트시장이 우선 살아나야 이들 주택도 이주수요에 따른 거래가 반등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개발·재건축 침체도 거래 약세의 한 이유로 지목된다. 개발사업은 대부분 수익성 하락으로 멈춰서 투자수요를 끌어들지 못하고 있다.
실제 올 들어 서울시가 정비예정구역을 해제한 지역은 성북구 3곳, 도봉구 3곳, 강북구 2곳, 동대문구 2곳 등 25곳에 달한다. 시가 내달 70곳의 실태조사를 끝내면 해제지역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정태희 부동산써브 팀장은 “다가구, 연립주택은 가격 변동이 크지 않는 데다 개발호재마저 사라져 수요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며 “‘4.1대책’이 시행되면 틈새시장으로 거래량이 소폭 개선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