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AP/뉴시스 |
4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원·엔 환율 민감도가 줄어들었고 한국 제조업체들의 해외 생산 비중이 증가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먼저 신문은 IMF의 보고서에 대해 아시아에서 주변국들 간의 환율 전쟁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 비춰봤을 때 흥미롭다고 평가했다.
현재 중국은 위안화의 가치 하락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일본은 또다른 통화 완화정책을 통해 엔화 약세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한국이 IMF로부터 외환시장 개입을 중단할 것을 요구받기도 했다.
한국과 일본은 자동차와 칩, 전자제품 등 자국 상품들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끝없는 환율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 한·일 주력 수출품 달라…엔화 약세 이득도
IMF는 먼저 과거 사례를 볼 때 지난 2008~2012년 사이 원화가 약세를 보였던 당시 한국의 수출이 증가했으나 일본 수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당시 원화 약세로 인해 한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70% 가량 수출 규모가 증가했지만 동기간 일본의 수출 규모도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는 것이다. IMF는 양국의 수출품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IMF는 지난 1990년대 이후 원·엔 환율 변동에 대한 한국의 수출 민감도는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점에 비춰보더라도 한국이 엔화 약세에 대한 우려를 덜어도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정보기술 분야 등에서 한국이 스마트폰과 메모리칩, LCD 등을 주력 상품으로 삼고 있는 반면 일본은 시스템 칩과 게임 관련 제품들에 초점을 맞추는 등 수출 분야가 다르다는 것이다.
아울러 한국 제조업체들의 해외 생산 비중이 증가했다는 점도 환율로 인한 영향을 줄여주는 요소라고 평가했다.
IMF에 따르면 한국 자동차 업체의 해외생산 비중은 지난 2008년 당시 38%에서 2012년 현재 73%로 두배 가까이 늘어났고 스마트폰 역시 동기간 16%에서 80%로 크게 뛰었다.
특히 IMF는 한국의 일부 산업들은 일본 공급업체에 의존하고 있어 반도체와 LCD 생산에 필요한 일본산 초정밀 기계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이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원화 대비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해외 시장 점유율이 하락할 수 있다"면서도 "아시아의 공급체인이 매우 복잡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엔저 현상이 과거처럼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