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신흥국위기?] 페소화 급락, 외환위기로 이어질까?

기사등록 : 2014-06-20 10: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아르헨 페소화 22% 급락…97년 위기 재발 가능성은 낮아

[뉴스핌=김동호 기자]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급락하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다.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시장을 위축시키는 모습이다.

과거 아시아 외환위기는 태국의 바트화 추락을 계기로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 바 있다.

아르헨티나는 최근 외환보유액이 8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중앙은행은 외환보유액 감소를 이유로 외환시장 개입 포기를 선언했다. 이에 페소화 가치는 이달에만 무려 22% 이상 급락했다.

지난 24일 뉴욕거래소 기준 페소화 환율은 달러 대비 7.9899페소를 기록해, 올 들어 22.6% 올랐다. 칠레와 콜롬비아, 멕시코 등 주변 신흥국 환율도 상승세를 보이며 달러 대비 평가절하되는 모습이다.

이에 투자자들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외환위기가 재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테이퍼링(단계적 양적완화 축소)이 시작된 1월부터 신흥국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연준이 너무 성급한 결정을 내렸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중국의 경제 성장세마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신흥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르헨티나를 위시한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이 과거와 같은 외환위기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25일자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들의 통화 가치가 잇따라 폭락하면서 지난 1997년 아시아에 불어닥친 외환위기를 연상시키고 있지만, 현재 상황과 당시는 유사점이 그리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캐피탈이코노믹스 역시 "아르헨티나의 위기는 인플레이션과 외환 보유고 급감 등이 겹치면서 나타난 특수한 경우"라며 “아르헨티나는 특별한 케이스"라고 진단했다.

우리투자증권 이지형 외환전략가도 "악재가 겹치면서 발생한 일시적 환율 상승을 신흥국 전반의 외환위기로까지 확장시키기는 어렵다"며 "현재 가장 펀더멘털이 취약한 위험자산인 신흥국 통화에 대한 평가 절하가 가파르게 진행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단기적인 시장 혼란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주 연준의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시장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올해 1월부터 월 100억달러 테이퍼링을 시작한 연준이 추가 테이퍼링에 나설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28~29일 벤 버냉키 연준의장이 마지막으로 주재하는 1월 연준회의에선 테이퍼링 규모를 월 200억달러로 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이지형 외환전략가는 "신흥국 환율이 미 연준의 테이퍼링 및 타이트닝 상황에 따라 한 두 차례 더 조정을 받을 수 있다"며 "터키나 러시아, 남아공 등 정치와 경제 전반에 불확실성이 큰 국가들은 자산가격 조정 과정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중국 위안화의 경우, 중국의 성장세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여타 신흥국 대비 견조한 모습을 보이며 주목 받았다. 중국 위안화 가치는 올해 들어 달러화 대비 0.1% 개선됐다.

중국 현지언론들은 중국 경제가 이번 신흥국 위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번 신흥국 위기론을 야기한 주요 원인인 미국의 테이퍼링이 중국 경제에는 결코 ′악재′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중국 청화(칭화·淸華)대학의 리다오쿠이(李稻葵) 경제연구센터 주임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중국은 위안화 가치의 급격한 상승과 단기성 투기자금 유입의 압박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영국계 금융회사인 바클레이즈도 올해 초 중국의 위안화에 대해 "신흥국가 통화 중 가장 충격에 강한 통화"라고 평가하며 막대한 외화보유액과 높은 저축률, 비교적 높은 신용등급이 외부 충격을 잘 방어할 것으로 진단했다.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