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위기의 디젤차②] 폭스바겐 '더티 디젤'이 도화선?

기사등록 : 2016-05-18 11:3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폭스바겐 '디젤게이트'와 닛산 사태로 디젤 불신 일파만파...연비·출력 잡으려 환경성은 눈속임

[뉴스핌=이성웅 기자] '클린 디젤차'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과 더불어 4대 친환경차로 꼽혀온 차량이다. 자동차 업체들은 기존 디젤엔진에 촉매환원장치 등을 부착해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감소시켰다고 주장해왔다.

게다가 디젤 엔진 특유의 고연비까지 갖춰 사람들은 최신기술이 접목된 디젤차가 정말 환경성과 연비를 모두 만족시켜줄 것이라 생각했다.

지난 16일 환경부가 발표한 디젤차량 배출가스 조사결과로 '클린 디젤'에 대한 환상은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환경부는 지난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진행한 조사에서 조사 차량 20종 중 19종이 기준치보다 1.6~20.8배 많은 양의 질소산화물을 배출했다고 보고했다.

홍동곤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이 지난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한국닛산 캐시카이 차량의 배기가스 시험 모습을 들어보이며 배출가스순환장치가 작동 중단되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특히 이번 발표로 도마 위에 오른 닛산 캐시카이는 기준치(0.08g/km)의 20.8배에 달하는 1.67g/km의 질소산화물을 내뿜을 뿐만 아니라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캐시카이에 탑재된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배출가스 재순환장치다. 이는 배출가스 일부를 연소실로 재유입시켜 연소 온도를 낮추고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는 장치다.

환경부는 이 장치가 특정 온도조건(흡기온도 35℃)에서 작동을 멈췄다고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자동차 전문가들 역시 이러한 현상에 대해 차량 시험모드와 실주행 상태의 기능이 다르도록 '임의 조작'한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디젤차에 대한 환상이 깨지기 시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바로 지난해에만 해도 폭스바겐의 일명 '디젤게이트'가 전세계의 이슈로 떠올랐다.

지난해 10월 미국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폭스바겐은 자사의 'EA189' 디젤엔진을 탑재한 1100만대 가량의 차량의 배출가스량을 조작했다.

캐시카이가 받고 있는 의혹과 비슷하게 판매 전 승인시험과 실제 주행 상태의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다르게 작동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폭스바겐의 경우 배출가스 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중지시켜 시험 결과를 조작하는 방법을 택했다.

논란이 불거진 이후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에서 폭스바겐의 디젤차 15개 모델을 대상으로 배출가스 측정을 한 결과 유로5기준(180mg/km)보다 최대 40배에 달하는 질소산화물을 배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논란이 일파만파로 커지며 미국 정부가 천문학적 과징금 부과를 예고하고 있고 소비자들의 집단소송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폭스바겐 매장. <김학선 사진기자>

폭스바겐 사태 이후 디젤차를 둘러싼 의혹은 일파만파 커졌다. 이번에 진행된 환경부 조사 역시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사건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폭스바겐 사태 이후 국내의 폭스바겐 차량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조작사실을 확인했다"며 "이에 따라 다른 업체의 차량에는 조작이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마티아스 뮐러 폭스바겐 CEO는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사과문과 리콜 계획 등을 발표했고 162억유로(약 21조6095억원)을 차량 개선에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독일 정부 역시 10억유로(약 1조3340억원)를 친환경차 지원예산으로 내걸며 '더티 디젤 판매국'이라는 오명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눈치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조작이 디젤엔진 고유의 고출력·고연비는 유지하면서 친환경적 이미지까지 가져가려는 '무리수'라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주로 쓰이는 질소산화물 촉매와 배출가스 재순환장치와 같은 저감장치들은 필연적으로 연비저하를 가져오기 마련이다"라며 "디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고, 각 국가의 기준에도 통과하기 위해 일부 업체들이 손쉬운 방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성웅 기자 (lee.seongwo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