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BOJ 헬리콥터머니? 김칫국 '역효과' 우려

기사등록 : 2016-07-22 08: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부양 기대 선반영…'엔저' 기대는 무리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21일 오후 2시3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시드니= 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다음 주로 예정된 일본은행(BOJ)의 7월 정책회의에서 대대적인 추가 완화 조치가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빠르게 형성되고 있지만 김칫국 마시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4월과 6월 정책 동결이라는 뜻밖의 결정에 충격에 빠졌던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28일부터 이틀간 진행될 BOJ 회의가 아베 신조 총리의 참의원 선거 승리 후 처음으로 열리는 정책회의라는 점에서도 이번에는 부양에 대한 의지를 어떻게든 드러내려 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하고 있다.

2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개한 씨티그룹 서베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0% 정도가 7월 추가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 같은 날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외환 트레이더들의 60% 이상이 다음주 회의에서 추가 완화 조치가 나올 것을 점치고 있다고 전했다.

씨티그룹 전략가 스티브 잉글랜더와 키란팔 싱은 “(서베이) 결론은 완화 쪽으로 기대감이 형성돼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어떻게’가 관건

참의원 선거 직후 일본을 방문했던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 의장이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와 아베 총리를 직접 만난 이후로는 버냉키가 2008년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국민에게 사실상 직접 뿌린 ‘헬리콥터 머니’ 정책이 일본서도 등장할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

하지만 일각에서는 막상 회의에서 완화 조치가 나온다 하더라도 워낙 김칫국부터 들이켰던 시장의 기대치에 조금이라도 못 미치는 결과가 나온다면 오히려 엔화 가치가 급등해버리는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는 경고음도 나오고 있다.

일본 아베 신조 총리 <사진=블룸버그통신>

한편 추가 완화 방법을 두고서는 여러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애널리스트들과 투자자들은 가장 직접적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을 불려줄 수 있는 방법으로 BOJ가 국채 매입을 통해 정부 지출을 지원하는 헬리콥터 머니 시행을 점치고 있다.

반면 씨티 서베이에서는 헬리콥터 머니 시행을 예상한 응답자는 31%에 그쳤고 40% 정도는 BOJ가 이미 마이너스 0.1%인 기준금리를 더 아래로 낮출 수도 있다고 답했다. 다수의 응답자들은 BOJ가 기존 ETF나 채권매입 프로그램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 엔화 급락 가능성 낮다

문제는 BOJ에 대한 완화 전망이 너무 지나치게 확산되고 있어 실제로 나온 조치가 시장 기대치에 조금만 못 미치더라도 즉각적인 시장 역효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금융시장은 아베의 참의원 선거 직후서부터 부양 기대감을 선반영했고, 21일 일본 정부가 당초 예상 범위의 상단인 20조엔규모의 재정 부양책을 펼 것이란 보도까지 나오면서 엔화 가치는 107엔선까지 후퇴했다. 선거 이후에만 엔화 가치가 달러 대비 5% 넘게 떨어진 것이다.

이처럼 엔화가 미리서부터 약세를 보이자 일본 증시도 동반 지지를 받아 빠르게 오름세를 보였다. 일본증시 닛케이지수는 이달 11일 이후 이날까지 7% 정도 오르고 있다.

달러/엔 환율(엔화가치와 반대) 및 닛케이지수 한 달 추이 <출처=블룸버그>

씨티 서베이에서는 응답자의 80% 정도가 이번 회의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엔화 가치는 달러 대비 3% 넘게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니혼게이자이 신문 역시 추가 완화 조치가 나와도 엔화 낙폭은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이란 게 투자자들 예상이라고 전했다.

미즈호은행 소속 가라카마 다이스케는 “BOJ가 추가 완화에 나서도 엔화는 발표 직후 몇 분 동안만 약세를 보일 뿐 결정에 관계 없이 엔화는 결국 강세를 보일 것”이라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완화 조치를 이미 시장에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무라증권 이케다 유노스케는 엔화가 떨어진다 해도 달러 대비 1엔 정도밖에 움직이지 않을 것이며 엔화가 다시 올라 결국 0.5엔 정도의 약세 효과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크레딧아그리콜 사이토 유지는 달러/엔 환율이 105~110엔 수준에서 머물 뿐 그 이상으로 약세를 보이진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문은 엔화의 경우 BOJ보다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에 더 크게 휘둘린다며, 최근 엔화가 급락했을 때도 미국의 지표 호조로 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이 고조된 영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시드니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