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영태 기자] 동해상에서 구조된 표류선박 및 선원들의 북한 송환과 관련, 남북이 경색된 남북관계로 인해 직통전화 등 핫라인을 활용하지 못하고 확성기를 이용해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군의 대북 확성기 전원 장치 <사진=뉴시스> |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16일 정례브리핑에서 "어제(15일) 오전 판문점 남북직통전화 통화를 시도했으나 북한이 응답하지 않아, 오후 3시께 (확성기로) 구두 통보했다"며 "북측 병사가 동영상으로 촬영, 우리 측 의사가 전달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북한이 오는 19일 진행하겠다고 통보한 선원들의 해상 인계에 응하지 않을 경우 육로 송환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정 대변인은 "북한의 응답은 아직 없지만, 예정대로 19일 월요일 오전에 (동해) 해상에서 인계할 계획을 세우고 준비하고 있다"며 "만일 북쪽 인수함정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일단 복귀한 후 육로로 송환하는 방법을 포함해 여러 가지 방법을 다양하게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과거 남북 간 설치한 핫라인이 이번 송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물리적인 이유보다는 아마 의지적인 문제"라며 "여러 차례 우리 통신라인이 연결되어 있는데, 그것들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쪽(북쪽)도 켜면 사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남쪽 핫라인은 켜져 있는 상태라는 설명이다.
남북 간 핫라인이 설치된 기관에 대해선 "일단 판문점에 적십자 연락사무소에 그 라인이 있다"며 "군통신선도 서해 쪽에 유지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에 연결된 핫라인에 대해선 "제가 말씀드릴 사항은 아닌 것 같다"며 "지금은 아닌 걸로 알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지난 11~12일 동해상에서 표류 중이던 북한 선박 3척을 발견, 모두 8명의 북한 선원을 구조했다. 구조된 선원 모두 북한으로 돌아가길 희망하고 있어 정부는 이들을 모두 송환하겠다고 북한에 통보하고, 응답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앞서 남북 군 당국은 지난 2002년 9월 17일 개최된 군사실무회담 합의에 따라 같은 달 24일 핫라인을 개통했다. 이는 분단 이후 처음 남북 군 당국 사이에 개통된 직통전화다. 당시 남북은 경의선 철도·도로 연결공사 상황실 사이에 핫라인을 연결해 오후 5시 30분에 시험 통화에 성공했다.
남북 군 당국 간 핫라인은 자석식 전화 1회선과 팩시밀리 1회선 등 유선통신 2회선으로, 시험 통화는 판문점을 경유해 남한의 도라산관측소(OP) 근처 육군 제1건설단 종합상황실과 비무장지대(DMZ) 위쪽에 위치한 북한측 봉동역 주변의 북한군 상황실 사이에 이뤄졌다. 핫라인 설치 문제는 2000년 8월 말부터 협의되기 시작해 2년 만에 개통됐다.
한편 북한은 이날 오전 평양방송을 통해 난수방송을 내보냈다. 북한은 지난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난수방송을 중단했다가 올해 6월에 재개했다. 이후 이날 방송까지 모두 18차례에 걸쳐 난수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정 대변인은 "난수방송의 의도 등은 단정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국내 교란용, 북측 관련 사람과의 연락용, 훈련용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상상해볼 수 있다"며 "북측은 구태의연하고 불순한 의도의 이런 기도를 중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