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이홍규 기자] 지난 70년 간 일본 대기업들에게 암묵적인 버팀목이 됐던 일본의 '게이레츠(keiretsu, 기업집단)' 문화가 와해되고 있다. 경영난에 처해 알짜 사업인 반도체 마저 매각하는 도시바의 구제 요청에도 일본 기업들은 묵묵부답이다.
5년 전 반도체 제조회사가 미국 투자펀드에 인수되는 것을 막고자 정부 펀드와 유수의 대기업들이 연합을 꾸렸던 것과 대조적이다.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3일 자 파이낸셜타임스(FT) 분석 기사에 따르면 일본 산업계는 도시바의 반도체 사업(도시바 메모리) 매각으로 도시바의 기술이 아시아 경쟁사에 넘어 갈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정작 도시바 메모리 입찰에 단일 후보로 참여한 기업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민관펀드인 일본산업혁신기구(INCJ)는 미국 사모펀드 또는 반도체 회사 웨스턴디지털(WD)과 공동 입찰을 검토 중이다. INCJ는 일본 기업들이 각 100억엔 규모로 소수 지분을 인수토록 유도할 계획이었지만 결국 실패했다.
<사진=블룸버그통신> |
◆ 게이레츠, 전후 일본 경제 성장 뒷받침
이 같이 도시바를 둘러싼 일본 기업들의 소극적인 태도는 지난 수십년 간 대기업들에게 안전망을 제공했던 일본 특유의 기업 네트워크인 게이레츠의 퇴색을 의미한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신뢰에 기반한 경영 협력체를 뜻하는 게이레츠는 집단 내 기업에 지원을 제공하며 일본 전후 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했다. 일본의 게이레츠는 크게 미쓰이, 미쓰미시, 스미토모 등으로 나뉜다.
위즈덤트리재팬의 제스퍼 콜 펀드매니저는 일본 기업들의 사업상 합의는 "힘든 시기때 당신을 도와줄 것이다"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면서 과거 사례를 봤을 때 "도시바가 '미쓰이 게이레츠'의 핵심에 있다고 고려하면, 은행들이 개입하는 등 해결책들이 나왔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게이레츠는 냉담해졌다"고 말했다.
과거 일본의 많은 기업들은 이 지원 네트워크로부터 수혜를 입었다. 2005년 UFJ가 미쓰비시도쿄금융그룹에 의해 구제됐고, 지난 2012년에는 르네사스가 미국 사모펀드 콜버그크래비츠로버츠(KKR)로부터 인수되는 것을 막고자 INCJ가 토요타와 파나소닉의 지원을 얻어 전(全)일본 컨소시움을 꾸렸다. 결과가 성공적이지 못할지라도 대기업, 은행, 정부로부터 광범위한 지원을 얻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도시바가 원자력 사업 손실로 미래가 불투명해졌다고 평가받은지 반 년이 지난 지금 도시바를 돕겠다고 나선 기업은 찾기 힘들다. 과거와 달리 도시바 홀로 경영 재건에 나서야하는 상황이다.
◆ 환경 변화·구조개혁 요구
전문가들은 이처럼 기업과 금융계의 반응이 소심해진 이유는 기업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시장이 쪼그라들면서 해외 진출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높아졌고 정부가 지배구조 개혁을 요구함에 따라 서방 등 해외 투자자들에게 이 이해할 수 없는 의사 결정을 설명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미국 반도체업체 마이크론 테크롤로지가 인수한 엘피다 메모리의 사카모토 유키오 전 최고경영자(CEO)는 "회사는 주주들에게 그들의 행동을 설명해야 한다"면서 "기업들은 더 이상 혼자 도시바를 구하기 위해 투자할 수 없다"고 말했다.
도시바의 사외 이사인 고바야시 요시미츠는 지난 4월 도시바 메모리 인수를 위한 국가적 컨소시움의 등장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과거라면 가능했겠지만 이제는 더 이상 투자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어떻게 각각 100억엔을 투자해 투자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겠는가? 어렵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정부의 개혁 요구로 상호 지분보유 주식(cross-held share)이 줄어드는 등 우호 기업간 금융적 유대관계가 느슨해지고 있는 점도 게이레츠가 와해되는 요인이다.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2015년 말, 일본 상장 은행과 비금융 회사가 보유한 일본 주식 비율은 10.3%로 1990년 34%에서 급감했다. 노무라는 향후 수 년에 걸쳐 이 비중이 20~30%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 인식 변화, 자동차 산업에서 잘 나타나
이러한 변화는 일본의 핵심 산업인 자동차 부문에서 잘 나타난다. 작년 11월 KKR은 닛산의 핵심 부품 회사인 칼소닉 칸세이를 45억달러에 인수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KKR의 인수로 닛산과 칸세이간 케이레츠 유대가 단절됐다고 평가했다.
닛산에게 이 매각은 자율주행차와 전기차 등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시대에 핵심 부품 업체를 다른 곳에서 찾겠다는 것을 의미했다. 결과적으로 칼소닉은 닛산에 매출을 대부분 의존하던 것에서 벗어나 매출을 다변화할 수 있었다.
작년 미쓰비시 자동차가 연비 부정 스캔들에 휘말렸을 당시에도 '미쓰비시(Mitsubishi) 게이레츠' 내에서 회사를 돕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결국 미쓰비시자동차는 르노자동차와 제휴를 맺고 있는 닛산에 매각됐다.
전문가들은 사업 환경이 변화했고 기업들의 인식도 바뀌고 있는만큼 정부의 기업 구제를 위한 개입은 자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히려 정부 개입이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 경제산업성(MEIT) 고위 관료와 가까운 일본의 한 대기업 최고경영자는 "당신이 이를 '주식회사 일본의 종말'로 부를지 모르겠지만, 도시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는 문제의 복잡성 때문에 모두가 놀라고 있다. 이는 MEIT와 일본에 위기 때 정말로 그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이 이들이 생각한 것보다 솔직한 답변이다"고 신문에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