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오영상 전문기자] 프랑스 르노와 일본의 닛산자동차가 실질적인 ‘완전통합’을 시야에 두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르노와 닛산은 1일, 양사의 연구개발과 구매 등 주요 부문의 기능 통합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연구개발’ ‘생산기술·물류’ ‘구매’ ‘인사’ 등에서 일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판매를 제외한 주요 기능의 대부분을 통합한다는 방침이다.
차세대 기술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도 포함해 인력이나 기술 등의 경영 자원을 보다 일체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닛산이 3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미쓰비시자동차도 참여한다.
일본 요코하마에 있는 닛산 본사<사진=뉴시스> |
하지만 양사의 경영 일체화는 닛산을 자신들의 통제 하에 두고자 하는 프랑스 정부가 요구해 왔던 것이다. 이에 닛산 내부에서는 프랑스 정부의 관여가 심해질 것이란 경계감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1999년 자본 제휴 후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은 카를로스 곤 회장의 지휘 하에 차대와 엔진 등 부품 공통화를 추진해 비용 경쟁력을 높였다. 경영 자원을 서로 보완하는 완만한 제휴를 통해 업무 효율을 높인 덕분에 세계 판매대수는 폭스바겐이나 도요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규모까지 늘어났다.
곤 회장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3사 연합의 지속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3사 연계가 불가역적인 것임을 보여주고 싶다”며, “중점 부문의 기능 통합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곤 회장의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습이다. 이번 기능 통합 확대가 종국에는 자본을 포함한 르노와 닛산의 경영 일체화를 위한 포석이라고 받아들이고 있다.
오는 6월 르노 이사회 개편에 맞춰 최대 주주인 프랑스 정부는 곤 회장의 퇴임을 포함해 경영진의 세대 교체를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곤 회장이 자신의 연임을 조건으로 정부가 요구했던 르노와 닛산의 경영 일체화 요구 일부를 수용했다는 견해도 있다”고 전했다.
카를로스 곤 회장.<사진=뉴시스> |
최근 지지율이 40%대로 떨어진 마크롱 대통령에게 국내 고용 창출은 시급한 과제다. 지난해 봄 닛산이 유럽에서 발매한 주력 소형차 ‘마이크라(일본명 마치)’를 르노의 프랑스 공장에서 생산했다는 점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닛산차의 프랑스 내 생산 확대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르노와 닛산은 신형차 생산 거점을 선정하는데 있어 철저하게 생산성을 기준으로 삼으면서 비용 경쟁력을 높여 왔다. 하지만 프랑스 정부의 개입에 의해 이러한 원칙이 흔들릴 우려가 있다.
프랑스 정부와 르노·닛산 연합은 주식을 장기 보유한 주주의 의결권을 2배로 하는 ‘플로랑주 법(전체 주주의 2/3 이상이 반대하지 않으면 2년 이상 주식을 보유한 장기 투자자는 자동으로 주당 1표인 의결권이 2표로 늘어나도록 한 법)’을 놓고 2015년에도 격렬하게 대립한 바 있다.
현재 프랑스 정부는 르노의 지분 15%를 갖고 있으며, 르노는 닛산에 43.4%, 닛산은 르노에 15%를 상호 출자하고 있다.
지금까지 프랑스 정부의 개입을 노골적으로 싫어했던 곤 회장도 “(3사 연합의) 자본 구성을 변경하려면 일본과 프랑스 정부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또 “무언가를 준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앞으로 3사간 지분 비율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는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신문은 “자본 논리를 앞세웠던 자동차 업체 간 제휴가 전부 실패로 끝난 가운데, 완만한 제휴에 의해 성장을 계속해 온 르노·닛산 연합은 몇 안 되는 성공 사례로 꼽힌다”며, “하지만 프랑스 정부의 개입으로 르노와 닛산의 독립성이 훼손되는 사태에 이르면 지금까지의 성공 패턴을 유지하지 못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Newspim] 오영상 전문기자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