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글로벌

[폼페이오 방북 미스터리] ④트럼프 재신임 얻어낸 北, 특사 다시 보내나

기사등록 : 2018-07-11 08: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트럼프, 트윗에 "北 비핵화에 합의했다" 선 그어
고유환 "회담 '판' 영향 없어…이제 첫 걸음 뗀 것"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지난 6~7일 북한을 방문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나지 못한 채 별다른 성과 없이 미국으로 돌아갔다. 그 이후 북미 비핵화 협상에 난기류가 조성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쏟아졌다.

실제로 미국 정가에서는 미국과 무역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비핵화 협상에서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도록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전 세계의 시선이 일제히 트럼프 대통령에 쏠렸다. 어떤 반응이 나오느냐에 따라 혹시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회담을 뒤집은 것처럼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도 백지화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급격히 커진 것. 하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이 미국과의 비핵화 약속을 지킬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혀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켰다.

[사진=트럼프 대통령 트윗]

◆ 폼페이오 방북 답방 이뤄질까...
    특사 김영철 2차 방미 가능성, 김여정 동행할 수도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은 우리가 서명한 합의문을 존중할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의 비핵화에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우리가 보이고 있는 태도로 인해 협상에 부정적인 압력을 행사하려고 할 수도 있다”며 “그렇게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중국을 경계했다. 

외교가에선 이제 북미 당국이 물밑에서 다시 비핵화 협상을 시작할 준비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폼페이오 장관이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전한 답방의 형식으로, 북한측 특사가 또 다시 미국을 방문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이 경우 지난 5월 미국을 방문했던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2차 방미 길에 나설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김 위원장의 의중에 보다 무게를 싣기 위해 친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동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이제 공은 다시 북한에 넘어갔고, 김정은 위원장이 어떤 행동을 취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재신임에 답변을 할 것인지가 향후 비핵화 수순의 최대 난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6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무장관이 백화원 영빈관에 도착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로이터=뉴스핌]

◆ "후속 실무회담서 비핵화 타결안되면 2차 북미정상회담 열릴 수도"

폼페이오 방북회담을 통해 미국과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친서를 맞교환했다. 가시적인 비핵화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회담의 동력은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미 국무부도 앞으로 미북간 비핵화 검증 등 핵심사안을 논의할 ‘워킹그룹(실무협의체)’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실무자급에서 비핵화 신고와 검증, 보상절차 등을 논의하겠다는 의미다.

폼페이오 장관도 6.12 북미정상회담 합의 사항인 미군 유해 송환, 북한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등을 논의하기 위한 후속 실무회담이 조만간 개최될 것임을 시사했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이제 첫걸음을 내디뎠다. 미국과 북한은 서로의 관심사를 얘기한 것이고, 서로 어느 정도의 간극이 있는지 확인한 것”이라며 “앞으로 후속협상을 통해 조정작업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 교수는 또 “안보를 교환하는 차원에서의 비핵화와 체제 안전보장에 초점을 맞춰 진행될 것”이라며 “후속협상을 통해 실무적으로 타결이 안 된다면, 2차 정상회담을 열어 정리하자고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남성욱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북미 정상 간 ‘접점’을 못 찾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그런데 후속 실무회담에서 어떤 결과를 기대한다는 것은 너무 낙관하는 게 아닌가 싶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남 교수는 “위에서 안 되는 것은 아래서도 안 되는 것”이라며 “책임 소재 문제 때문에 누가 먼저 나서 후속협상의 판을 깨지는 않겠지만, 북미의 '동상이몽'이 이어지는 한 서로에 대한 원망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한지웅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12일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가진 뒤 취재진에게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2018.06.12

 

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