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중국

소비대국 中 vs 생산대국 美, 미래 반도체 패권 누가 쥐나

기사등록 : 2018-08-01 16: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반도체 최대 소비국, 다만 자급률은 10%
화웨이 필두로 5G 국제표준 경쟁 가속화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31일 오후 5시4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의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경쟁력이 아직 미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뒤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를 비롯해 인터넷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미국이 절대적 우위를 지닌 반면, 통신설비 분야에서는 중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중 양국은 각자 첨단기술 보호 및 육성 계획을 발표하며 ‘기술력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6월 미국은 “중국 지분 25% 이상인 기업이 ‘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기술’을 보유한 미국 기업 인수를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뒤이어 중국 상무부는 7월 30일 “외국기업의 전략적 A주 투자행위가 중국의 이익에 위협이 되는지 심사하겠다”며 공격적 지분 투자를 사전에 통제하겠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헝다연구원(恒大研究院)은 ‘중미 과학기술 경쟁력 비교’ 보고서를 통해 중국과 미국의 정보통신기술 경쟁력을 분석했다. 보고서는 먼저 4차산업혁명 시대에 ICT 산업은 다른 모든 산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안보 및 군사력과도 큰 연관이 있어 국가 경쟁력을 비교하는 중요 지표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먼저 ‘전자산업의 꽃’이라 불리는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이 세계 최대 소비국으로 부상한 반면, 자급률은 여전히 10%대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미국은 전세계 반도체 생산의 절반을 담당해 반도체 대국의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중국의 반도체 시장 규모는 2332억달러에 달하는 반면, 자급률은 12.2%에 불과해 2000억달러의 반도체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PU)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 ▲디지털신호처리반도체(DSP) 분야 반도체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보고서는 미국 인텔 퀄컴 엔비디아 등 대형 업체들의 R&D 투자 규모가 매출액의 20%에 달하는 반면, 중국은 장기 투자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업 경쟁력 및 전문인력 육성 분야에서 뒤쳐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유력 반도체 생산기업 중신궈지(中芯國際, SMIC)의 경우, 2016년 지출액 26억3000만 달러 중 R&D 투자액은 3억1800만달러에 불과했다.

반도체 장비업체 분야에서도 중국이 미국에 크게 뒤쳐진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세계 반도체 장비업체 매출 1위인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는 매년 15억달러를 R&D에 사용하는 반면, 중국의 대표 반도체 장비업체 베이팡화촹(北方華創)의 R&D비용은 1억달러도 채 되지 않았다.

헝다연구원은 직접회로(IC) 설계 분야에서 화웨이하이쓰(華為海思) 칭화유니그룹(紫光集團,) 등 중국 기업이 선전하며 중미 기술력 격차를 좁혔으나, 여전히 미국에 비해 매출 규모는 크게 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중미간 격차는 크게 벌어졌다. PWC컨설팅은 세계 주요 IT기업 R&D투자 비교를 통해 2017년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의 R&D비용이 각각 100억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했다. 반면 중국의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는 R&D순위 7, 8, 10위를 차지했으며 7위 알리바바의 R&D비용은 25억달러에 그쳤다.

헝다연구원은 컴퓨터 OS시스템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가 시장점유율 88%, 애플의 Mac OS가 9%를 차지해 세계 시장 97%를 독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OS에서도 애플의 iOS와 구글 Android가 세계 시장 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이들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클라우드컴퓨팅 분야에서 알리바바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알리클라우드는 서비스형 인프라(IaaS) 제공업체 중 세계 3위를 기록했다. 2017년 4분기 알리바바그룹 전체 매출액의 7%가 클라우드컴퓨팅 매출이었다.

다만 통신과 결합한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에서는 중국의 약진이 도드라진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화웨이하이쓰의 경우 2017년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칩셋 ‘기린(麒麟) 970’을 개발했고, 화웨이 메이트10에 탑재해 상용화를 시작했다. 때문에 업계 관계자들은 화웨이를 “글로벌 반도체기업 퀄컴에 의존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중국 기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2017년 기준 화웨이의 연구개발비는 897억위안으로 애플과 퀄컴의 연구개발비를 크게 웃돌았다. 화웨이하이쓰는 앞으로 스마트폰 뿐 아니라 머신러닝과 클라우드컴퓨팅으로 반도체 활용 분야를 넓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통신설비 분야에서도 화웨이를 필두로 중국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화웨이의 지난해 매출액은 926억달러로, 기존 강자였던 노키아(249억달러)와 애릭슨(245억달러)를 크게 제쳤다. 올해 미국의 제재로 피해를 입은 중싱(ZTE) 역시 지난해 매출액 146억달러를 기록하며 4강체제를 구축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국내 통신장비 시장에서 40%의 점유율을 있으나, 전 세계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은 3%에 그치고 있다. 화웨이의 세계 통신시장 점유율은 28%에 달한다.

특히 화웨이가 통신 반도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5G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화웨이는 지난 6월 미국에서 열린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 회의에 참석해 경쟁사들과 함께 5G 글로벌 표준을 확정했다.

 

bjgchin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