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경제

한·UAE 정상회담, 건설·인프라 넘어 첨단산업 협력 향한다

기사등록 : 2019-02-27 12:3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한·UAE, '특별전략적 동반자 관계' 방향성 제시 공동성명 채택
인적 교류도 확대, 고위급 인사 교류 및 청소년 교류 늘리기로
정부 간 협정 1건, 협력 MOU 8건 체결, "협력 성과 제도적 기반"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한국을 공식 방문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왕세제와 정상회담을 진행하고 에너지·건설 분야의 전통적 협력을 넘어 비석유 분야와 첨단 산업 분야로 향후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과 모하메드 왕세제는 이날 정상회담에서 지난해 3월 문 대통령의 UAE 공식 방문을 계기로 체결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걸맞는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고 향후 양국이 추진할 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모하메드 UAE왕세제가 27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사진=청와대]

양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고위급 소통 채널 활성화와 바라카 원전, 국방·방산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이 양국관계 발전을 견인해 왔음을 평가하며 더욱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한-UAE 공동성명은 △한-UAE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확인 △호혜적 실질협력 강화를 통한 미래형 동반성장 추구 △사람 중심의 협력 강화를 통한 인적 교류 확대 △역내 평화와 안정을 선도하는 관용과 존중의 파트너십 구축 등으로 구성됐다.

UAE는 2018년 기준 우리의 제1위 건설 수주(15건, 53억불)와 중동지역 국가 중 우리의 제1위 수출대상국(46억불), 아중동 국가 중 가장 활발한 인적교류 대상국(우리 교민 1만 3천명 및 약 130여개 기업 진출 중)인 핵심 우방국으로 특히 2009년 우리 기업의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 수주 등을 계기로 최상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양 정상은 이날 에너지·건설 분야에서의 전통적 협력을 넘어 비석유 분야로 양국 간 협력을 다변화하고,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강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미래형 동반성장을 추구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한·UAE 간 인사 교류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채 1년이 안되는 기간 동안 양국 정상이 상호 방문해 정상 간 신뢰와 우의가 돈독해지고 있다고 공감하면서 앞으로도 고위급 인사 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UAE의 '앰배세더 프로그램' 및 양국 청소년 교류 사업 등 양국민 간 미래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인적교류도 활성화 하기로 했다.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왕세제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현재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한반도에도 평화와 화합의 메시지가 널리 전파될 수 있기를 기원했다.

모하메드 왕세제는 이날 "UAE가 한국의 형제국가로서 앞으로도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정착을 일관되게 지지할 것"이라고 했으며 최근 남북관계의 긍정적인 진전을 높이 평가했다.

이날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한 건의 정부 간 협정과 8건의 협력 MOU(양해각서)도 체결됐다. 양 정상은 이날 체결된 협정과 MOU가 양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협력 성과의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이날 체결된 정부 간 협정은 개정 이중과세방지 협약이었고, MOU는 △개정 이중과세방지협약 △특별전략 대화 MOU △관광협력 MOU △스마트 팜 기술협력 MOU △청정생산과 생태산업개발 MOU △산업·투자 협력 MOU △수소도시 기술협력 MOU △폐기물 재활용 MOU △후자이라 정유시설 계약 관련 MOU이었다.  

dedanh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