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지난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등 공공기관들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29일 지난해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액은 총 1조595억원으로, 2017년 구매액 9428억원과 비교해 1167억원(12.4%)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구매실적 및 계획을 공고하기 시작한 2013년 이래 최고 수치다.
'사회적기업'은 취약 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고용부는 사회적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지난해 기준 841개 공공기관으로부터 사회적기업 구매 실적을 받아 이를 공고한다.
이날 고용부 누리집에 공고한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실적을 보면, 제품구매액은 2012년 1916억원에서 지난해 1조595억원으로 5.5배 가량 늘었고, 같은기간 구매비율은 0.53%에서 2.27%로 4배 이상 증가했다.
기관 유형별 전체 구매액 중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실적을 보면 자치단체가 3583억9800만원(5.83%)으로 가장 많고, 공기업 2850억9600만원(2.21%), 준정부기관 1403억3500만원(3.22%), 교육청 1134억9400만원(1.66%), 국가기관 843억9100만원(0.98%), 지방공기업 397억6600만원(1.69%), 기타공공기관 325억1600만원(0.62%), 지방의료원 47억5100만원(2.91%), 특별법인 8억200만원(0.89%) 순이다.
공공기관 우선구매 우수사례를 살펴보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해 사회적기업 제품 532억6200만원을 구매해 총 구매금액의 3.53%를 자치했다. 이는 전체 공기업 중 지난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금액이 가장 많았으며, 2017년 368억9400만원 대비 44% 가량 늘어난 수치다.
한국가스공사는 지난해 87억1800만원의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해 총 구매금액의 3.13%를 차지했다. 2015년 12억1400만원(1.15%)에서 지난해 구매금액과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지난해 사회적기업 제품으로 268만1200만원을 구매해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76억9900만원(2.41%)에서 지난해 268만1200만원(8.66%)으로 구매액 및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자료=고용노동부] |
이들 공공기관들의 구매 품목도 다변화되는 추세다. 그동안은 청소·방역, 산업용품, 사무용품이 주된 구매 품목이었으나, 최근에는 아동·청소년 교육 서비스, 보육 서비스, 관광·체험 상품, 전통공예품 등으로 품목이 다양해지고 구매액도 늘고 있다. 이들 품목들의 구매액은 2015년 24억원에서 지난해 184억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
이에 대해 고용부 관계자는 "각 공공기관이 최근 맞벌이 증가에 따른 돌봄 수요와 직원이나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 요구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공공기관의 올해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계획은 지난해보다 1036억원(9.8%) 늘어난 1조1631억원이다.
고용부는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촉진을 위해 매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 및 공동연수(워크숍) 등을 개최해 우수사례를 전파하고 이해를 높아나갈 계획이다.
동시에 의무구매의 근거를 담은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안이 국회에서 빨리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해당 특별법은 2016년 8월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 중에 있다.
송홍석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공공기관은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의 일자리, 복지, 환경문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부터는 사회적기업 종합상사'를 확산해 공공기관의 구매 편의성을 높이고,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 기업들을 위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민들도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점가의 운영을 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지원과 홍보활동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