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사상 최초의 북미정상회담이 열린지 1년이 지났다. 일명 ‘스트롱맨’ 간 만남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고 두 정상은 70년의 적대시기를 종식시킬 첫 발걸음을 뗐다. 북미 정상은 회담결과 4개항으로 구성된 6.12 북미공동성명에 서명하면서 비핵화를 위한 여정의 시작을 알렸다.
하지만 8개월 반 만에 다시 만난 두 정상은 합의문에 서명하지 못했다. ‘노딜’이라는 예상치 못한 결과물만 남긴 채 다음을 기약했다. 이후 조성된 북미 간 국면은 심상치 않다는 지적이다. 첫 번째 만남 이후 조성됐던 기대감은 우려로 바뀌는 모양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6.12 북미공동성명'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北 “美, 셈법 바꿔라” vs 美 “선(先) 비핵화가 먼저”
결렬로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미 간 ‘비핵화 시계’는 그대로 멈춰있다. 가장 큰 원인은 비핵화 방법론에 대한 북미 간 이견이다. 북한은 선(先) 비핵화 후(後) 보상을 전제로 한 미국의 일괄타결식 빅딜을 두고 ‘수용불가’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면서 셈법을 바꿀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북한은 최근에는 “6.12 북미공동성명이 의미 없는 빈 종잇장이 될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4일 담화를 통해 “미국은 지금의 셈법을 바꾸고 하루빨리 우리의 요구에 화답해 나오는 게 좋을 것”이라며 “우리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역사적인 6.12 북미공동성명 발표 1돌을 맞으며 미국은 마땅히 지난 1년간을 돌이켜봐야 할 것”이라며 “더 늦기 전에 어느 것이 올바른 전략적 선택으로 되는가를 숙고해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북한이 원하는 비핵화 협상 방식은 단계적·동시적 접근이다. 그러나 미국은 비핵화에 대해서는 오직 하나의 접근법만 있다고 맞서고 있다. 특히 과거 6자회담의 실패 원인이 북한의 원하는 방식 때문이라는 미국 조야의 지적도 여전하다. 북한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핵시설 일부만 내주고 완전한 대북제재 해제를 받겠다는 북한의 입장이 명확하게 드러났다”며 “결국 미국이 말하는 빅딜이라는 것은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상황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월10일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4차 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조선중앙통신] |
◆북미, ‘김정은 시한’ 넘기나…“완전한 비핵화 김정은 결단 중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4월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북미 간 협상 시한을 올해 연말까지로 제시했다. 미국이 새로운 협상법을 들고 나오지 않은 경우 ‘새로운 길’을 가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이른바 ‘북한식 전략적 인내’라는 평가가 나왔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도 경고의 메시지를 내놨다. 그는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일원으로서 제정신을 가지고 제가 할 소리는 당당히 하면서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 이후 남북 간 교류와 협력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북미 간 교착국면 탈피에 활력을 불어넣을 요소 중 하나로 여기는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부차적 겉치레”, “생색내기”라며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또한 개성공단 기업인 방북 승인 문제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협력의사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전향적인 요소가 없다면 북미 간 협상이 ‘김정은의 시한’을 넘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는다.
문성묵 센터장은 “대화는 얼마든지 열릴 수는 있지만 북미 간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며 “결국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린 것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연말시한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북 전문가도 “연말 전에 3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등이 있을 수는 있지만 정상회담 개최일은 결국 내년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북미 간 접점 찾기도 어렵고 특히 미중 간 ‘경제 전쟁’이 지속되고 있어 올해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김정은 ‘브로맨스’ 유지…6월 한미정상회담 변곡점 될까
한편 일각에서는 북미 정상 간 이른바 ‘브로맨스’는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북미 간 공 떠넘기기 양상은 지속되지만 정상 간 직접적인 비난은 자재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톱다운 방식’을 토대로 한 교착 국면 돌파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 없다는 얘기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도 지난 4일 외신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미국 사이에 “북한의 선(先) 비핵화가 아닌 동시·병행적으로 해결해야 된다는 인식의 공감대가 넓어지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6월 말에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을 움직일 대북 메시지가 두 정상 간에 도출된다면 새로운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임재천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북미 간 교착국면을 탈피하는 과정이 힘들지만 6월 한미정상회담이라는 변수가 있다”며 “아직 성급하게 판단하기는 이르고 북한 비핵화 협상 동력 만들기에 대한 한미 간 노력은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