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일본 정부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주요 소재 수출 규제가 일본 업체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이 이들 소재의 최대 수요처여서 일본 관련 업체들에게 타격을 줄 뿐 아니라 한국이 소재 국산화에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가 10나노미터 중반의 미세공정 기술로 생산한 16Gb 용량의 'DDR5 D램'.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사진=SK하이닉스] |
◆ "소재 의존도 높지만 재고 확보로 단기 타격 없어"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에 대한 수출관리 제도를 엄격하게 운용한다고 발표했다. 당장 영향을 받는 품목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리지스트,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등 3개로 반도체와 TV·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이로 인해 오는 4일부터는 일본 기업이 해당 품목을 한국에 수출할 때 정부의 심사와 허가를 받아야 한다. 기간은 약 90일 정도가 소요될 전망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아직까지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즉각적인 피해는 없겠지만 장기화 가능성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대체제를 찾고 있지만 그동안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사용 물질이 바뀔 경우 적응 기간도 필요하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은 전 세계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및 리지스트 생산량의 약 90%, 에칭가스는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경제산업성은 한국을 외국환관리법상 우대제도인 '화이트 국가' 대상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정령을 개정하기 위해 이날부터 의견수렴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화이트 국가에 포함돼 있으면 일본 기업이 해당 국가에 첨단소재 등을 수출할 때 신청 및 허가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미국, 영국, 한국 등 27개국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제외될 경우 개별적으로 면밀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번 규제에 이어 화이트 국가에서도 제외될 경우 전자 업계의 타격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규제 이슈는 지난해부터 불거져 준비를 하고 있었던 부분이 있다. 현재까지로는 재고가 있어 문제가 없지만 관건은 장기화"라며 "상황 악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日 기업에도 역타격...자충수 될 수도"
이번 조치가 일본 업체들에게도 타격을 줄 뿐 아니라 한국이 소재 국산화에 속도를 낼 수 있어 역타격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에서 우위를 달리고 있어 관련 품목에 대한 수입 비중이 높은데 이는 역으로 이를 판매하는 일본 기업들 또한 한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일본 기업들 역시 한국 기업에 판매하고 있는 비중이 높아 매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이를 수입하는 글로벌 국가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일본 정부가 이번 규제를 장기화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또 다른 반도체 업체 관계자는 "일본 제품이 품질이나 가격 면에서 우수하긴 하지만 다른 국가에서 조달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니다"라며 "거래선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다"고 전했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의 경우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에 사용되는데 LG디스플레이의 경우 현재로선 일본에서 수입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로 최악의 경우 국내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이 단기적으로 생산 차질을 겪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수혜를 볼 수도 있다"며 "현재 반도체·디스플레이는 업체들이 이번 이슈를 계기로 과잉 재고를 소진하면서 생산 차질을 빌미로 가격 협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국산 소재 비중을 확대하는 계기로도 작용, 국내 소재 업체들에게 수혜가 돌아갈 수 있다"며 "한국은 최대 소재 시장"이라고 덧붙였다.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