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일본 정부가 한국 수출 규제에 나선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의 대일(對日)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주요 소재의 국가별 수입비중. [자료=무역협회] |
1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리지스트와 에칭가스, 플루오드 폴리이미드에 대한 대일 수입의존도(지난 1~5월 기준)는 각각 91.9%와 43.9%, 93.7%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정부는 이날 이들 3개 품목에 대한 한국 수출 절차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앞으로 3개 품목에 대해서는 계약 건별로 수출 허가를 받아야 하며 신청과 심사까지는 약 90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로 최악의 경우 수출 불허가 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규제 도마에 오른 3개 품목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에 투입되는 필수 소재다. 리지스트는 반도체 공정에서 빛을 인식하는 감광재이며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식각(에칭)에 사용된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는 불소처리를 통해 열안정성을 강화한 필름으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에 사용된다.
반도체 주요 소재의 대일 수입의존도. [자료=무역협회] |
이들 품목에 대한 대일 의존도는 지난 10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에칭가스의 경우는 다소 낮아졌지만 플루이드 폴리이미드의 경우 플렉서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최근 몇년 새 급격하게 증가했다.
반면 일본의 수출 비중을 보면 에칭가스 이외 품목은 한국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에칭가스는 85.9%로 비중이 높지만 리지스트는 11.6%, 플루오드 폴리이미드는 22.5%다.
주요 소재별 일본의 국가별 수출 비중. [자료=무역협회] |
이에 따라 한국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는 규제 장기화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계 1, 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TV, 스마트폰 등에 디스플레이를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이 민감하다.
이들은 아직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큰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자체적으로도 대응책 마련에 나서는 중이다. 다만 수입국 다변화와 소재 국산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오랜 기간 일본 제품을 사용해 와 당장 변화를 주는 것이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