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사우디 아라비아의 석유 시설 피격에 따른 국제 유가 급등이 중국에 일격을 가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과 무역 마찰에 꺼지는 실물경기를 되살리기 위한 위안화 평가절하와 통화완화가 고유가로 인해 꼬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의 석유시설이 14일(현지시간) 드론 공격을 받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16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15% 가까이 치솟으며 배럴당 62.90달러에 거래됐고, 국제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역시 15% 가량 뛴 배럴당 69.02달러를 나타냈다.
시장 전문가들은 유가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오닉스 커머디티스의 그렉 뉴먼 최고경영자가 유가 100달러 돌파를 경고했고, 골드만 삭스를 필두로 한 투자은행(IB) 업계가 일제히 80달러 내외까지 상승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일단,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경기 침체 리스크가 제한적이라는 데 시장 전문가들은 의견을 모으고 있다.
데이터트렉 리서치의 닉 콜라스 공동 대표는 CNBC와 인터뷰에서 “1980년대 이후 미국의 경기 침체는 국제 유가가 90% 이상 폭등했을 때 발생했다”며 사우디 석유 시설의 드론 공격에 따른 매크로 경제 충격 우려를 일축했다.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제니퍼 맥퀀 이코노미스트 역시 투자 보고서에서 “사우디 사태가 글로벌 경제에 재앙을 몰고 올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원유 생산 재개가 예상보다 빨리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중국이라는 지적이다.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이 경기 하강 기류와 고유가의 이중 압박을 견디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뿐만 아니라 위안화 평가절하와 통화완화 등 무역 마찰로 인한 충격을 진정시키기 위한 경기 부양책 역시 제동이 걸릴 위기라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유가 강세로 인해 위안화 평가절하에 따른 리스크가 더 커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위안화 하락과 유가 급등이 맞물리면서 원유 수입 비용이 큰 폭으로 뛸 수밖에 없고, 이는 중국의 재정과 물가를 동시에 흔드는 요인이라는 얘기다.
중국이 최근 미국산 콩류와 돈육을 포함한 농축산물 수입을 재개한 한편 추가 관세를 면제하기로 한 것도 무역 협상 진전을 위해서라기보다 들썩이는 국내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복안이라고 신문은 판단했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할 때 미국의 폭탄 관세에 따른 충격을 희석시키기 위한 중국의 위안화 환율 통제에 제동이 걸릴 여지가 높다는 진단이다.
통화완화 정책 역시 고유가에 발목을 붙잡힐 수 있다고 WSJ은 주장했다. 월가의 애널리스트는 중국 인민은행(PBOC)이 지준율 인하에 이어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하는 상황.
하지만 정책자들이 고유가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를 외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전날 리커창 중국 총리가 6% 경제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다고 언급, 중국 최고 지도부에서 이례적인 경고음이 나온 가운데 예기치 않은 사우디 석유 시설 피격이 성장률 후퇴를 가속화하는 시나리오에 힘이 실리고 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