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1-31 09:03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국내에서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증가 추세에 있다. 이 때문에 시중에 마스크 품귀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는데, 북한도 한국산 감염방지용 마스크를 밀수경로를 통해 대량 구입한 것으로 확인돼 주목된다.
3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중국의 무역소식통들을 인용해 "지난 주말 북한의 한 무역회사가 한국산 마스크를 밀수경로를 통해 대량 구입하겠다고 주문했다"며 "중국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성능이 뛰어난 한국산 마스크를 찾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이어 "그동안 낮 시간에 주문을 하던 북한 대방은 이번에는 밤 12시가 넘은 늦은 시간에 마스크를 주문했다"며 "중국의 춘절연휴임에도 불구하고 통상 거래하던 방식을 벗어나 급하게 주문을 한 것"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아울러 "이번에 북조선 대방이 요구한 마스크는 한국의 한 업체가 개발해 식약청 승인을 받은 바이러스 차단용 기능성 제품"이라며 "밀수대방은 마스크의 자세한 기능과 함께 사진까지 전송하며 구매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주문한 한국산 마스크 'K×××' 제품은 중국에서도 품절돼 구할 수 없다고 설명했는데 그렇다면 한국에 직접 주문할 수 없냐고 되물었다"며 "대방이 주문한 1회용 최신형마스크의 가격은 북한에서 1개당 입쌀 10kg 가격과 맞먹는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단둥의 한 무역종사자도 "어제 북조선 밀수대방이 갑자기 한국산 마스크를 급하게 찾았다"며 "마스크의 형태와 크기, 기능과 가격까지 꼼꼼하게 적어 대량 구매가 가능한지 문의해왔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일부 중국사람들은 한국산 마스크가 기능이 뛰어나지만 1회용인데다 고가여서 한 번 쓰고 버리지 않고 씻어서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며 "하지만 북조선 대방은 고가의 최신형 마스크를 대, 중, 소, 규격별로 나누고 남녀 성별과 색상까지 특정해 주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언급했다.
그는 아울러 "북조선 대방은 마스크를 주문하면서 한국식약청이 인증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꼭 첨부해달라는 부탁도 했다"며 "한국 식약청 인증서까지 요청하는 것으로 보아 주문한 마스크가 일반주민용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아차릴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조선에서 한 번 사용하는데 10kg의 쌀값이 들어가는 고가의 마스크를 사용할 사람이 몇이나 되겠냐"며 "마스크를 주문한 대방이 국가차원의 밀무역을 주도하는 기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평양의 극소수 특권층을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