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강혁 기자 = 두산중공업 유동성 문제로 촉발된 두산그룹의 위기탈출 핵심인 '두산솔루스 매각'이 연일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매각작업은 아직 본궤도에 오르지는 않았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얼어붙은 국내 M&A(인수합병) 시장에 일찌감치 활력을 불어넣는 모습이다.
손꼽히는 인수후보들은 화려하다. 삼성, SK, LG 등 재계 유력그룹 선수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린다. 하지만 이들의 표정은 담담하다. 관심이 없다거나 검토하지 않았다고 손사레를 치기도 한다. 열기는 뜨거운데 정작 적극적인 곳은 아직 없다.
매각쪽의 군불떼기인지, 관심쪽의 포커페이스인지. M&A 시장을 달구는 두산솔루스는 정말 매력적일까.
◆두산솔루스 매각 관심 고조...동박·전지박 경쟁력 호평 이어져
26일 재계와 IB업계 등에 따르면 두산솔루스 매각을 둘러싼 시장의 관심은 상당히 높아져 있다. 두산그룹 자구안의 핵심이라는 점과 함께 이 회사의 성장성에도 호평이 쏟아지고 있어서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사진=두산> |
두산솔루스는 지난 십수년간 동박, 전지박, 디스플레이, 바이오 등 소재 공급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두산그룹 지주회사인 (주)두산에서 인적분할로 떨어져 나와 2019년 10월 재상장했다. 익산1공장에서 바이오 소재를, 익산2공장에서 전자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주력사업을 구체적으로 보면 ▲전자제품 회로기판용 동박소재 ▲전기차배터리용 전지박소재 ▲모바일·TV·차량패널용 디스플레이 전자소재 ▲천연화장품·의약품 바이오소재 등이다.
이중 동박·전지박 공급에서는 최근 공격적인 확장을 진행해 오고 있다. 특히 중장기적인 성장의 측면에서 전기차 본고장인 유럽에 1만톤 규모의 전지박 둥지도 틀었다.
이 회사는 지난 2018년 헝가리에 전기자동차 2차 전지 핵심 소재인 전지박 공급을 위한 공장 설립을 결정했고 2020년 본격 양산을 준비 중이다. 사업의 성장성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이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기술력면에서도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해왔다는 평이 많다. 단적으로 이 회사는 극소수 업체만 생산하는 6㎛(마이크로미터)의 동박 기술력을 확보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시장의 평은 후하다. 하나금융투자는 동박 부문 매출을 2020년 246억원, 2021년 1287억원으로 큰 폭 성장을 예상했고, 유진투자증권은 2024년 매출을 1조420억원까지 추정했다.
◆삼성, SK, LG 등 인수후보 하마평 무성...선수들 저마다 '글쎄'
삼성, SK, LG 등 재계 굴지의 그룹들이 두산솔루스 인수후보로 꼽히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이 회사의 성장성뿐만아니라 사업적 시너지가 있다고 봐서다. 이들 모두가 2차전지, 전기차배터리 등 전지 완제품을 신성장원으로 육성중인데다 디스플레이와 바이오까지 단번에 소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관성에서다.
[두산 로고] |
시장에선 삼성보다는 LG를, LG보다는 SK를 더 높은 관심후보로 등떠밀고 있다. 삼성전자와 LG가 투자안내서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으나 확인된 바 없다. 또한 투자안내서를 받았다는 것이 M&A의 참가나 완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수후보로 거론되는 기업들의 표정은 담담하다 못해 긍정적이지 않다. 물론 속내는 알 수 없다.
이와 관련해 A기업 관계자는 "추측성 이야기 투성이다. 관심 없다"라고 잘라 말했고, B기업 관계자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라고 했다. C기업 관계자는 "우린 왜자꾸 거론되냐. 굳이 뭐하러. 진짜 다들 고민하긴 하느냐"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M&A라는 것이 결국 돈(거래금액)이 걸린 문제라 소위 밀당이 필수라는 점에서 어쩌면 당연한 표정일 수 있으나 하마평 기업 모두 완강하게 고개를 가로젓고 있다는 점은 눈길이 가는 대목이다.
인수후보로 거론되는 한 그룹 계열사 관계자는 "(우리 사업과 관련해) 정말 매력적인 매물인지 솔직히 확신이 없다"라면서 "딜을 성공시키기 위해 여러 IB들이 붙었을테니 열기를 끓어올리려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매각쪽의 군불떼기가 아니냐는 것이다.
◆두산그룹 매각 '사활'...시장선 다양한 시나리오 설왕설래
두산솔루스는 (주)두산이 18.05%로 최대주주이고 박정원 두산 회장(7.38%),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4.92%),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4.24%) 등 두산 총수일가 16.54%의 지분율을 보이고 있다. 특수관계인을 모두 합치면 총 61%에 달하는 지분이 매각대상이 될 수 있다.
두산그룹에게 두산솔루스 매각은 유동성 위기의 큰 불을 잡을 수 있는 사활이 걸린 문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안 중 가장 비중있는 계획인데다 유동성 공급의 측면에서도 매각을 통해 1조원 남짓의 자금수혈은 반드시 필요하다. 시장에서는 두산솔루스 인수가격을 최대 1조4000억원대까지 점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매각작업을 둘러싼 여러가지 말들도 나온다. 두산 총수일가가 인맥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해 백방으로 뛰고 있다거나 연장선에서 유력 그룹의 총수와 직접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도 떠돈다.
매각시나리오로는 공개입찰을 통한 단독매각을 추진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국내외 사모펀드에 추후 지분을 되사오는 콜옵션을 붙여 협상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중이다.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군불떼기이든지 포커페이스이든지 당장 급한쪽은 두산"이라면서 "딜이라는게 물밑이 어떨지는 완주가 거의 끝나가야 알 수 있겠지만 두산에겐 가격도 시기도 좋은 상황만은 아니다"라고 평했다.
ikh665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