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백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접종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에 가장 맞는 백신을 정하고, 우선 접종대상을 선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원석 고려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31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동향 및 확보전략'을 주제로 개최된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1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동향 및 확보전략'을 주제로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현재 국제적으로 5개 제약사가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3상에 착수한 상태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부터 화이자와 모더나 등 제약사를 선정해 개발을 지원 중이다.
한국은 국내 자체 개발과 해외 수입의 투 트랙으로 백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되 해외에서 먼저 개발할 경우 즉각적인 수입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신종 인플루엔자 백신은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플랫폼을 바탕으로 항원을 바꾸는 것이었기 때문에 시간 싸움의 측면이 있었다"며 "그러나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새로운 바이러스로 백신 우선순위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 교수는 "초기에 모든 물량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확보 물량에 따라 접종전략은 달라져야 한다"며 "의료체계와 국가 기반 유지, 피해 최소화, 유행 차단 등 전략적 목표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임상 결과를 주목하면서 국내에 가장 맞는 백신을 정하고, 우선 접종대상을 선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피해 차단의 측면에서 고려하면 새로운 백신이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아직 모른다"며 "불확실성이 큰 만큼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감안해 백신 양상에 따른 전략을 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준행 전남의대 교수도 "가장 빠른 순서로 보면 옥스퍼드대학에서 개발하는 백신이 좋아보일 수도 있지만 데이터로는 또 다른 백신이 더욱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이는 등 선택에 어려움이 많다"며 "실제로 백신 임상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앞으로 두 달 정도면 어떤 백신이 가장 효과적인지 대략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백신 수급이 시작되기 전 우선접종 대상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희진 고려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2009년 신종 플루 때에는 안전성, 면역원성, 효과성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순차접종을 실시한 바 있다"면서 "현재 감염학계와 역학계, 기초의학자들이 의견을 모으고 있는데 우선 접종자를 순차적으로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무엇보다도 사회 안전망을 유지를 위한 인력과 취약계층에 대한 접종을 우선순위로 둘 수밖에 없다"며 "이들의 비율은 전체 국민 중 20~30% 정도 될 것으로 예상하며, 그들에게 필요한 백신을 어떻게 수급할지도 논의해 가야 한다"고 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 역시 "어디까지 필수인력인지 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군인까지인지 택배직원까지인지 논의가 돼야 한다"며 "처음 수급되는 백신이 5만명 분량이라면 처음에는 누구에게 가고, 그 다음에 수급되는 백신은 누구에게 갈지 미리 정해놓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백신이 공급될 경우 적정 가격을 위한 협상과 함께 수요 예측이 관건이 될 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은 "백신의 예상단가가 최저 8달러에서 최대 50~60달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며 "결국은 정부가 어떻게 협상 전략을 가져가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영주 존슨앤존슨 부사장은 "현재 한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고 하지만 잠재적인 수요는 높은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피력할 경우 마스크처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