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해!왜? 해외채권] 강풍에도 끄떡없는 홍콩 국채, 왜?

기사등록 : 2020-10-03 09: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국가보안법', '홍콩자치법' 통과에도 금융시장은 안정적
미국 달러화 페그제로 안정성 보장, 금리 매력은 낮아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글로벌 금융 허브'를 자처해 온 홍콩의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홍콩의 영향력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반면 대외 불확실성 확대가 홍콩 국채(채권)와 주식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오히려 홍콩 국채 값은 더욱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미·중 갈등 충격? 홍콩 국채시장은 '평온'

2018년 미·중 무역분쟁을 기점으로 홍콩의 역할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에는 시위 사태가 발생해 다수 기업이 문을 닫고 대학들은 휴교령을 내렸다. 올해엔 5월 반중 시위, 6월 홍콩 국가보안법에 이어 7월 미국의 '홍콩자치법' 통과까지 이어지며 미·중 갈등이 다시 확대됐다.

홍콩에 대한 특별대우 박탈에 이어 미국의 압박이 심화하면서 홍콩의 글로벌 지위는 지속적으로 약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9월 글로벌 금융센터 평가에서 3위를 차지했던 홍콩은 이미 올해 3월 6위까지 밀렸다. 미국의 특별지위 철회로 인해 자본과 인재가 빠져나가는 헥시트(Hexit: 해외 투자자금의 홍콩 대이탈)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까지 나오기도 했다.

9월29일 기준 지난 1년간 홍콩 10년물 국채금리 추이 [자료=인베스팅닷컴] 2020.09.29 bjgchina@newspim.com

그러나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홍콩 금융시장은 빠르게 안정을 되찾았다. 지난해 말 1.82%였던 홍콩 국채 10년물 금리는 9월 29일 0.44%까지 내렸다. 지난 7월 미국이 홍콩자치법을 통과시키면서 금리가 소폭 상승세로 전환했다가 다시 하락한 것이다. 최근 1년간 홍콩 금리 하락률(금리 하락은 채권가격 상승)은 65.0%로 우리나라(2.21%)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았다.

전문가들은 정치·외교적 이슈가 홍콩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풍부한 외환보유액을 바탕으로 위기시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7월말 기준 홍콩의 외환보유액은 4500억달러로 세계 7위(한국은 9위)에 달한다.

글로벌 자금조달 창구로서 역할도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중국 기업들은 홍콩 동시상장을 빠르게 늘리고 있으며 홍콩에서의 채권발행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기관들 입장에서도 홍콩은 채권발행을 위한 주요 시장이다. KDB산업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홍콩에 깔아놓은 인프라를 대체할 마땅한 곳이 없다. 채권발행 시장으로서 홍콩의 역할은 유지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오성홍기(우)와 홍콩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 홍콩 국채는 사실상 미국 국채? 페그제 효과

홍콩의 금리와 환율을 이해하기 위해선 미국과 홍콩의 페그제를 알아야 한다. 현재 홍콩달러는 미 달러당 7.75~7.85홍콩달러로 변동폭을 고정하고 있다. 1983년 홍콩 경제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가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에 미 달러의 가치 변화는 홍콩달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화정책도 연동해 움직인다. 올해 미국이 기준금리를 1.75%에서 0.25%까지 150bp(1bp=0.01%포인트) 내리는 동안 홍콩도 기준금리를 2.0%에서 0.86%까지 114bp 내렸다. 홍콩 국채금리와 미국 국채금리 역시 방향성을 같이하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미국과 홍콩의 금리 인하 차이만큼 홍콩 채권의 투자 매력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보통 홍콩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동일한 보폭으로 움직이는데, 급격한 상승·하락기에는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들어 홍콩이 미국보다 기준금리를 적게 인하했는데, 그만큼 추가 금리 인하(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이론적으로 홍콩 국채 투자도 고려할 만하다"며 "미국과 페그제를 유지하는 만큼 홍콩 국채는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페그제가 홍콩 국채 투자의 발목을 잡는다는 설명도 나온다. 미국 국채와 연동해 움직이다 보니 특별히 캐리(이자) 수익이 높은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안정성만 보고 투자하기에는 아쉽다는 것이다.

홍콩 국채시장 규모도 작다. 홍콩 국채 발행잔액은 1729억달러(약 207조원) 규모로 우리나라의 1/4 정도다. 홍콩 증권거래소는 지난해 말 기준 세계 6위 시장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홍콩 채권시장 역시 우리나라를 비롯해 주요국 기업의 자금조달원으로 각광받는 점과는 대조적이다. 시장 규모가 작은 만큼 관련 상품도 제한적이다.

주전신(朱振鑫) 중국 루스(如是)금융연구원 원장은 "홍콩 국채시장 규모도 작지만, '아시아의 미국 국채'로 불릴 정도로 미국과 움직임이 유사하다"며 "투자자 입장에서도 차라리 미국 국채에 투자하겠다는 의견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jgchi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