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이 국내 건설장비 1위 기업인 두산인프라코어를 인수한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두산인프라코어와 국내시장 1,2위를 다투는 현대건설기계를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인수가 완료되면 국내 굴삭기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 확보는 물론, 세계 7위권 건설장비업체로 뛰어오를 전망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이날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매각 관련 본입찰 결과 현대중공업지주-한국산업은행인베스트먼트(KDBI)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두산중공업은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35.4%을 보유한 최대 주주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과 계약서 협의를 거쳐 빠른 시간 내에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매각 예상금액은 9000억원대로, 연말 본계약이 체결될 전망이다.
현대건설기계(위)와 두산인프라코어가 제작 생산하는 굴삭기 [제공=각 사] |
현대중공업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를 인수할 경우 현대건설기계와 합병하거나 별도 운영을 통해 중국 등 세계 건설기계시장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를 현대중공업이 인수할 경우 국내에서 생산하는 굴삭기 시장은 사실상 현대중공업이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국내 굴삭기 시장 점유율(국내 생산 기준)은 두산인프라코어 43.5%, 현대건설기계 32.9%로, 두 회사의 점유율은 76.4%다.
굴삭기만 따로 떼어 내면 현대중공업이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지만 소형·초대형 건설장비를 더한 점유율은 50% 안팎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특히 해외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현대건실기계의 매출 비중은 중국이 가장 높지만 세계 건설기계시장 점유율은 1.5%, 산업차량시장 점유율은 1.1%로 미미하다. 중국에서 선전하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가 세계 시장 확대를 노리는 현대건설기계에 날개를 달아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에 진출한 해외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굴삭기를 판매한 업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015년 12.9%였던 중국 점유율을 올 3분기 22.8%로 높이며 시장 입지를 꾸준히 강화해가고 있다. 특히 올해 3분기 누계 판매량은 1만4348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이상 성장했다. 3분기 중국사업 매출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55% 성장한 3089억원을 달성했다.
옐로우테이블(Yellow Table) 등 해외 건설장비 리서치 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두산인프라코어의 세계 건설장비시장 점유율은 3.3%로 전체 9위, 현대건설기계는 1.2%로 22위다. 양 사의 점유율을 합치면 4.4%로 세계 7~8위권이다.
현재 세계 건설장비시장은 1,2위 업체인 캐터필러(Caterpillar), 고마쓰(Komatsu)와 그 외 기업의 격차가 크다. 지난해 기준 시장 점유율은 캐터필러가 16.2%, 고마쓰 11.5%다. 3위인 히타치(Hitachi)와 볼보(Volvo)는 5.5%에 그친다.
현대중공업 측은 앞서 "두산인프라코어 인수가 확정될 경우 현대중공업그룹에 편입돼 건설장비 부문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다"고 밝힌 바 있다.
남아 있는 변수는 현재 진행 중인 중국법인(DICC) 소송 관련 리스크다. DICC 재무적투자자(FI)들과 7500억원 규모의 소송을 벌이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는 2심에서 패소한 상황. 최종 패소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는 투자자들에게 이 금액을 물어줘야 한다. 예비입찰과 달리 본입찰에서 다수 기업들이 발을 뺀 이유도 소송 리스크가 컸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지만 두산그룹의 주 채권단인 산업은행이 자회사를 통해 현대중공업과 인프라코어 인수에 나서며 양 측간 리스크 분담 협상이 원활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현대중공업 측은 "최종 인수를 위한 남은 절차에 성실히 임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