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불을 지핀 이익공유제의 첫 타깃으로 배달 플랫폼 기업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업체인 배달의 민족(배민)의 운영사인 '우아한 형제들'이 거론된다. 배민은 코로나19 여파로 최고 수혜를 입은 업체로 부각돼 왔다.
민주당이 내세우는 논리는 코로나19로 수혜를 입은 기업이 피해를 본 계층과 이익을 나눠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의 근거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비대면 소비 확산이다. 바이러스 감염을 우려해 대면 접촉을 꺼리는 소비자들이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으로 시선을 돌리면서 플랫폼 업체들이 반사이익를 톡톡히 누렸다는 주장이다.
배민라이더스. [사진=우아한형제들] |
◆배민, 코로나19 최대 수혜업체로 부각...코로나로 반사이익 누렸을까?
사실상 전혀 틀린 말은 아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해 배민의 거래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
실제 국내 음식배달 서비스 시장 파이가 커지면서 배민도 호황을 맞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누적 국내 음식배달서비스 거래액은 11조9985억원으로 추산된다. 1년 전인 2019년(9조7329억원) 대비 23.3% 증가한 수준이다. 3년 전인 2017년(2조7326억원)과 비교하면 4.4배에 달할 만큼 시장이 급성장한 셈이다.
지난해 4분기(10~12월)를 포함하면 연간 거래액이 13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배민의 지난해 연간 거래금액도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같은 기간 배민의 배달앱 시장 점유율(거래액 기준)은 전체의 78%로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지난해 배달앱 시장 점유율 현황. [자료=공정위] 2020.12.28 nrd8120@newspim.com |
당장 숫자로만 보면 기업 덩치를 불리는데 코로나19가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반박할 여지는 없다.
다만 민주당이 내세운 "이익을 공유하자"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다른 차원의 문제다. 배민이 순수하게 가져가는 이익이 얼마인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재무 여건인지를 가늠해 볼 필요가 있어서다. 거래액이 영업이익으로 직결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배민은 창립 이후 10년간 꾸준히 매출은 가파르게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의 그래프가 오르락 내리락 했기에 더욱 민감한 문제다. 적자를 본 기업에게 코로나19 피해를 본 계층에 이익을 나누라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
배민은 몇 년 사이 덩치를 키워 왔다. 6년 전인 2015년 당시 495억원이던 매출액은 2016년 849억원, 2017년 1626억원으로 신장하며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그 1년 후인 2018년에는 매출이 두 배 가까이 뛴 3145억원, 2019년에는 전년 대비 80% 늘어난 5654억원을 기록하며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51% 신장한 8550억원으로 추정된다.
◆거래액 늘면 이익 증가 아냐...코로나 효과에도 지난해 적자 기록한 듯
반면 영업이익은 롤러코스터를 탔다. 2015년 24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1년 만인 2016년에 25억원의 이익을 내 흑자 전환했다.
2017년 영업이익은 217억원, 2018년에는 525억원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 다만 2019년에는 과도한 마케팅비 지출 등 업체간 출혈 경쟁으로 4년 만에 364억원이란 대규모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우아한 형제들 관계자는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광고·마케팅 비용이 증가해 손실이 커졌다"고 적자가 크게 늘어난 이유를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배달의 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 2021.01.14 nrd8120@newspim.com |
증권 업계에서는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적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상 배민은 코로나19 여파로 이익을 봤다고 볼 수 없는 셈이다.
배민이 적자를 본 것은 위메프오와 쿠팡이츠 등 후발주자와의 마케팅 경쟁이 치열한 데다 지난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에 대규모 자금 지원을 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배민이 지난해 사회공헌 활동에 쓴 비용은 약 800억원이다. 이중 약 540억원은 자사 배달 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에 광고비와 수수료 환급, 외부결제 수수료 지원 등에 쓰였다. 이 외에는 배달량 급증으로 고생한 배민라이더스를 위해 200일 이상 일한 라이더 전원에게 감사비 명목으로 5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민주당이 코로나로 수혜를 본 기업들이 사회적 기여도가 낮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른 셈이다.
배민과 같은 벤처 기업들은 이익공유제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로 수혜를 입은 기업을 구분하기 어렵고 어느 정도를 이익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도 모호하다"며 "실질적으로 적자를 보고 있는 기업들도 코로나 여파로 거래액이 늘었기 때문에 이익을 나눠야 하는 거냐"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해 지원을 늘리며 사회적 책무를 다하려고 노력했다"며 "자발적 참여로 이익공유제를 실시하겠다고 했지만 정부의 눈치를 봐야 하는 기업들 입장에서는 참여를 할 수밖에 없지 않겠나. 준조세를 걷겠다는 것으로 보여 이를 수긍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한편 민주당은 야당과 재계의 반발에 '자발적 참여'로 한 발 물러난 모양새지만 여전히 이익공유제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지난 13일에는 당내 '포스트 코로나 불평등 해소 및 재정정책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다. 현재 배민과 같은 플랫폼 기업은 물론 삼성·LG·SK 같은 대기업, 비대면 기업 등이 대상 기업으로 거론되고 있다.
nrd812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