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국방부는 16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위해 북한이 병력을 보냈다는 보도와 관련해 "병력이나 민간 인력이 지원될 가능성이 있어 면밀히 추적 중에 있다"고 밝혔다.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지난 10월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있었던 북한군 장교와 병사의 사상자 발생은 여러 정황으로 봤을 때 사실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김 장관은 "(북한군의) 정규군 파견 문제는 러시아와 북한 간의 거의 군사동맹에 버금가는 그런 상호 협약을 맺고 있어 추가 파병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여기에 대한 대비도 잘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정은이 2024년 9월 11일 북한군 특수작전부대를 찾아 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우크라이나 매체는 자국 도네츠크 인근 러시아 점령지역에서 자국군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한 20여 명 중 북한군 장교 6명이 포함됐다고 지난 10월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북한군 병사 3명 이상도 부상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 소셜미디어(SNS)에 따르면 북한군 장교와 병사들은 러시아군 훈련 시범을 참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해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공병부대를 비롯해 북한군 인력이 러시아 점령지역에서 활동을 벌이고 있다는 정보를 공개하기도 했다.
국가정보원은 16일 우크라이나 언론의 북한군 파병 보도와 관련해 "사실일 가능성에 염두에 두고 정밀 추적 중"이라면서 "사실 확인을 위해 우크라이나 측과도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정부는 관련 보도 내용을 포함해 러북 군사협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 오고 있다"면서 "협력이 무기 거래뿐 아니라 무기 생산과 군 인력 파견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보도에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는 1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군이 북한군 병력으로 3000명 규모의 연대급 부대를 편성해 전쟁 투입을 앞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현지 매체는 서방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규모가 1만명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장병 중 일부가 탈영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북한군 18명이 쿠르스크주와 브랸스크주 경계,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약 7㎞ 떨어진 지점에서 부대를 이탈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24년 6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북러 관계의 기존 조약과 선언을 대체하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서명 후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가안보 소통보좌관은 15일(현지시간) 언론 인터뷰에서 "우리는 독립적으로 그 보도(북한군 파병)에 대해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뿐 아니라 인력도 공급하는 사실을 자국 정보기관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외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의회에 출석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범죄자 연합에 이미 북한도 포함됐다"며 북한이 러시아 편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사실상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13일부터 연일 북한군이 전장에 투입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러시아 측은 북한군 파병설을 "가짜뉴스"라고 일축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한과 체결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이 안보 분야를 포함한 모든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15일(현지시간) 강조했다.
북러조약은 다음 달 러시아 하원에서 비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평양을 전격 방문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쌍방 중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면 다른 쪽이 군사원조를 제공하고 안보 협력을 심화한다'는 내용이 담긴 북러조약을 맺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