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유로존 위기, 독일도 안전지대 아냐

기사등록 : 2012-06-01 14:0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ECB 지분 27%, EFSF 보증액 2000억 유로 - FT

[뉴스핌=김동호 기자] 그리스와 스페인 등 유로존을 둘러싼 위기감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 역시 안전한 피난처(safe heaven)는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독일 국채가 안전자산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나 독일 역시 유로존 위기에 따른 파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얘기다.

1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독일의 국채 수익률이 사상최저치를 기록하며 독일이 유로존 위기의 피난처로 주목받고 있으나, 독일 역시 유로존 위기로부터 자유롭지 않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총선 이후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과 스페인의 은행권 부실 문제 등 유로존을 둘러싼 불안감은 글로벌 금융시장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

이에 독일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독일 역시 유로존 재정위기 국가들에 대한 위험에 상당 부분 노출돼있다는 지적이다.

FT에 따르면 독일은 유럽중앙은행(ECB)의 지분 27%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최대 지원국이다. 독일의 EFSF 보증액은 2000억 유로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ECB나 EFSF의 재정 부담이 늘어날수록, 독일의 부담 역시 커지는 셈.

특히 독일의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는 유로존 재정 불량국들에 대한 익스포저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 재정위기가 처음 발생하고 난 후부터 그리스와 아일랜드,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등 이른바 PIIGS 국가를 지원해 온 분데스방크의 익스포저는 대략 8000억 유로에 달하며, 이는 독일 GDP 대비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일부 국가들이 유로존을 탙퇴하거나 디폴트(채무불이행)을 맞이할 경우 독일의 손실은 더욱 커질 우려도 있다.

이 외에도 독일의 강점인 수출이 유로존과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둔화될 수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현재 독일의 국내총생산(GDP)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 이상으로, 이는 일본과 미국의 20%, 1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지적이다.

또한 독일의 전체 수출 중 유럽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60%에 달해 유로존 위기로 인한 타격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예상되고 있다.




▶ "왕의 귀환" 주식 최고의 별들이 한자리에 -독새,길상,유창범,윤종민...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