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경제

靑, 조선·중앙 일본어판 공개 지적…"이것이 우리 국민 목소리인가"

기사등록 : 2019-07-17 12: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고민정 정례 브리핑서 공개리에 비판
언론사 답변도 요구 "우리 국민 위한 일인지 답해야"
일본어판 기사 제목 변경과 칼럼 내용 문제삼아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공개적으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일본판의 기사 제목과 내용을 문제삼았다.

고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많은 일본 국민들이 한국어 기사를 일본어로 번역해 올린 기사들을 통해 한국 여론을 이해하고 있다"며 "이것이 진정 우리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청와대 전경. yooksa@newspim.com㈜

고 대변인은 "한국 국민이 어려움에 처한 지금 상황에서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지혜를 모으려는 이때 무엇이 한국과 우리 국민을 위한 일인지 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 대변인은 조선일보는 '일본의 한국투자 1년새 마이너스, 요새 한국기업과 접촉도 꺼려'라는 기사를 '한국은 무슨 낯짝으로 일본에 투자를 기대하나'라는 제목으로 바꿨고, '나는 선, 상대를 악으로, 외교를 도덕화하면 아무것도 해결못해'라는 제목을 도덕성과 선악의 이분법으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다'로 바꿨다"고 지적했다.

고 대변인은 "7월 15일에는 '국채보상 동학운동 1세기 전으로 돌아간 듯한 청와대'를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고 국민 반일 감정에 불 붙인 청와대'로 원 제목을 다른 제목으로 바꿔 일본어판으로 기사를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고 대변인은 수출 규제가 시작되기 전인 5월 7일 '우리는 얼마나 옹졸한가'라는 칼럼을 '한국인은 얼마나 편협한가'라는 제목으로 바꾼 점도 문제삼았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중앙일보 기사 '한국은 일본을 너무 모른다. 수출규제 외교 장으로 나와라'와 '문통 발언 다음날 외교가 사라진 한국' 등도 지적했다. 또, '닥치고 반일이라는 우민화 정책'이라는 중앙일보 칼럼도 지적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공개적인 언론 기사 지적에 대해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한 한국의 여파가 적지 않다"며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해결하고자 지혜를 모으고 있는 상황인 가운데 일본에도 한국의 여론이 정확히 전달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dedanh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