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모기지 시장에 11년 전 위기의 원흉이 다시 등장했다.
감독 당국의 시선을 피해 소득 수준과 신용이 하위권에 해당하는 대출자들에게 자금줄이 제공되고 있고, 해당 대출 규모가 위기 이후 최고치에 이르면서 업계 전문가들이 바짝 긴장하는 표정이다.
미국 버지니아주 빈의 신규주택[사진=로이터 뉴스핌] |
국내외 경기 한파가 두드러지면서 침체 경고가 봇물을 이루는 상황과 맞물려 이른바 서브프라임(비우량) 모기지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21일(현지시각) 모기지 시장 조사 업체 인사이드 모기지 파이낸스에 따르면 지난해 집행된 비우량 모기지 대출이 450억달러로,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서도 정부 기관의 보증이 누락된 위험 대출은 증가 추이를 지속, 상반기에만 200억달러를 훌쩍 넘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수치를 뛰어넘었다.
이 같은 주택 대출은 소득 수준과 신용 평점이 감독 당국의 규정에 미달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정상적인 모기지에 비해 높은 이자율이 적용된다.
심지어 소득과 담보물의 자산 가치를 부풀려 대출 요건을 충족시키거나 대출 규모를 확대하는 수법도 동원되고 있다.
상당수의 모기지 업체는 통상 주택 대출에 요구되는 24개월치 은행 계좌 내역 대신 1개월치만을 검토한 뒤 자금을 제공하는 실정이다.
금융권은 해당 모기지 대출을 ‘비적격’이라고 지칭하고 있지만 사실상 11년 전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됐던 서브프라임이나 ‘사기 대출’로 통했던 알트-A라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밀켄 연구소의 주택 금융 부문 에릭 카플란 이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금융권의 대출 규정이 완화되고 있고, 위험한 거래가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금융위기 직전과 흡사한 상황”이라며 경계감을 나타냈다.
비우량 주택 대출은 비은행권 금융업체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지만 월가의 대형 투자은행(IB)도 크게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다.
JP모간과 씨티그룹, 크레디트 스위스(CS) 등 IB들이 비우량 대출 채권을 담보로 한 이른바 합성 증권을 쏟아내고 있다.
올해 1분기에만 25억달러에 달하는 서브프라임 론이 합성 증권이 담보물로 동원됐다. 이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동시에 금융위기 직전이었던 2007년 말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2분기에도 해당 증권이 19억달러 규모로 발행됐다.
일부에서는 전체 모기지 시장에서 위험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제한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 같은 안이한 판단이 11년 전 금융위기를 초래한 만큼 잠재 리스크의 통제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인사이드 모기지 파이낸스의 기 세칼라 대표는 “과거 주택 버블과 금융시장 붕괴를 일으켰던 위험 거래가 횡행하고 있다”며 “11년 전 뼈아픈 경험을 잊은 모습”이라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비우량 모기지 대출이 소득 수준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경기 하강 기류와 맞물려 금융시스템을 위협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