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이주열 총재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성장 둔화 우려 확대"

기사등록 : 2019-09-29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성장률 전망치(2.2%) 달성 어려울 수 있다"
미중 무역분쟁 완화와 반도체 경기 회복 지켜봐야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성장·물가 하락 압력이 지속하고 있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27일 인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출입기자단 워크샵을 갖고 경제상황을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먼저 최근 불확실성 지속 및 글로벌 성장세 둔화 흐름 속에서 주요국 통화정책이 더 완화적으로 조정됐다고 밝혔다. 그는 "미중 무역협상 재개, 노딜 브렉시트 방지법 의결 등 긴장 완화 움직임이 있으나, 앞으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사우디 원유 생산시설 피격 이후 여전히 원유수급과 유가방향에 대한 불안도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은 고용과 소비에서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나, 독일은 2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고 중국에서도 미중 무역분쟁으로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미국, ECB, 중국 등이 최근 금리인하 또는 지급준비율 인하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인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기자단 워크숍을 갖고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 총재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완화정책으로 세계경제 둔화 우려가 다소 완화할 수 있으나, 당분간 세계 성장 둔화가 좀 더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글로벌 밸류체인 약화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설명이다.

국내에서도 성장과 물가 둔화 압력이 지속하고 있다. 이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일시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겠지만 곧 반등할 것으로 봤다.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마이너스 0.04%)로 크게 낮아졌으나 이는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늦어도 내년 초에는 이런 기저효과가 해소되면서 물가상승률도 1% 내외로 올라갈 것이며, 현 상황을 디플레이션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국내 성장률은 더 둔화할 수 있다고 이 총재는 언급했다. 지난 7월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2%로 크게 낮춘 바 있다. 성장률 2.2% 달성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 총재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수출과 투자 부진의 주 원인은 반도체 경기 둔화에 있으며, 회복 시기 진입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경기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는 미중 무역분쟁 전개방향과 반도체 경기 회복을 꼽았다.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대외 여건과 국내 성장·물가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결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bjgchin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