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서울 흡수를 검토하는 이유는 에어서울의 특수한 태생적 한계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적자 해외노선을 받아 탄생한 에어서울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하늘길이 막히며 파산 위기를 맞았다. 지금은 회사를 살리기 위해 형제지간인 에어부산과 경쟁하며 국내선 확보에 뛰어든 상황. 저비용항공사(LCC)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에어서울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하다.
에어서울 항공시 [사진=에어서울] |
◆ 에어서울, 적자노선 받아 탄생…에어부산과 역할분담 등 한계 뚜렷
1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100% 자회사인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의 수익성 개선을 목적으로 단거리 적자노선을 분리하기 위해 탄생했다. 일본 요나고, 다카마츠 등 손님이 많지 않은 소도시 노선을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넘겨받아 운영해야 했던 태생적 한계 때문에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 결과 에어서울은 연 평균 100억원에 가까운 손실을 지속해왔다. 2017년에는 259억원 적자로 최대 폭의 적자를 냈다. 2015년 출범 이후 지난해 처음으로 겨우 흑자를 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최대 위기를 맞았다.
적자노선을 넘겨받은 것 외에 에어서울이 LCC 시장에서 성장하지 못한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에어서울은 아시아나항공 내 또 다른 LCC인 에어부산과 역할을 분담해야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서울이 에어부산의 취항 노선에는 들어갈 수 없도록 제한했다. 두 회사의 역할을 명확히 나눈 결과 양사 모두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나마 부산을 기점으로 공격적인 영업을 펼치며 김포~부산, 부산~제주 노선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한 에어부산과 달리 에어서울은 적자노선의 한계를 넘지 못한 채 부진에 시달려야 했다.
에어서울이 2015년 후발주자로 LCC 시장에 뛰어든 것 역시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이었다. 국내선에서도 이미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좋은 노선에 슬롯(특정 시간대에 공항을 이용할 권리)을 확보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에어서울과 에어부산은 각자도생에 나섰다. 에어서울은 에어부산의 주요 노선인 서울~부산 노선에 지난 8월부터 운항을 시작했다. 이달 들어서는 제주~김해노선까지 비행기를 띄우면서 에어부산과 본격적인 경쟁에 나섰다.
◆ '하늘 위 호텔' A380 정리…구조조정 본격화 우려
아시아나항공의 본격적인 사업개편은 결국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에어서울을 흡수한 뒤 적자노선 인력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초대형 항공기인 A380을 정리하는 것 역시 결국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조치로 풀이된다. 아시아나항공은 8대의 A380 가운데 2대를 격납고에 보관하고 6대만 공항에 대기 중이다. '하늘 위의 호텔'로 불리는 A380은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 부담 때문에 상당수가 적자에 시달려왔다. 지난 3월부터는 A380 운항이 전면 중단되면서 부담은 더욱 커진 상태다. 노선 조정의 일환으로 A380의 상당수를 결국 리스사로 반납할 거란 전망 나온다.
에어서울과 달리 에어부산은 부산 지역 상공계에서 상당부분의 지분을 갖고 있는 만큼 매각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지역 내에서 에어서울을 떠맡을 기업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지역에서는 지역 기반 항공사가 사모펀드(PEF)로 넘어가선 안 된다는 위기의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기업이 아니라 여러 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에어부산을 인수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자구계획이 항공업계 구조개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며 "현재의 과잉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나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