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전장용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제품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삼성전기는 삼성전기 전장용 MLCC 경쟁력으로 자체 원료 활용을 통한 안정적 원료 공급이라고 강조했다.
17일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전장용 MLCC의 트렌드와 삼성전기의 강점' 학습회를 개최하고 전장용 MLCC 최근 현황 및 삼성전기의 경쟁력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기에서 MLCC 제품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김위헌 상무가 강사로 나섰다.
삼성전기 MLCC개발그룹장 김위헌 상무가 MLCC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기] |
MLCC는 스마트폰을 비롯해 디지털TV, 서버, 통신기지국, 전기차 등 IC가 사용되는 모든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제품으로, 달라지는 환경에서도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조절하고 전자파 간섭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전자기기가 사막의 뜨거운 열기나 바다의 습도 등과 같은 특수한 환경 속에서 일정하게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댐' 역할을 하는 것이 MLCC의 역할이다.
MLCC의 크기는 쌀 한톨 크기의 250분의 1이고 0.3mm의 얇은 두께의 내부에 최대한 얇게 많은 층을 쌓아야 많은 전기를 많이 축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얼마나 그 층을 많이 쌓는가가 MLCC 기술력의 핵심이다. 특히 전장용 MLCC의 경우 스마트폰 등 IT제품에 들어가는 MLCC 보다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강한 고압,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고사양이 필요해 더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김위헌 상무는 "기본적으로 IT에 사용되는 MLCC는 보증 수명이 3년인데 비해 전장은 15년 이상 보증이 필요하다"면서 "사용되는 전환 능력도 달라서 IT MLCC의 정격 전압이 4.0~50볼트라면 전장 MLCC는 4.0에서 2000볼트라고 설명했다.
삼성전기 MLCC. [사진=삼성전기] |
그는 이어 "전장용 MLCC는 엔진과 같은 높은 온도가 사용되는 부분에서 150도씨까지 보증이 필요하다면, IT 제품은 85도씨까지"라며 "전장용의 경우 IT에 비해 굉장히 폭이 넓고 사용하는 요구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굉장히 높은 신뢰성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삼성전기가 전장용 MLCC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전기차 시대 개막과 함께 전장용 MLCC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장용 MLCC 가격은 IT용 MLCC 보다 3배 가량 높고, 사용되는 MLCC 양도 스마트폰 MLCC가 700~1100개라면 전기차는 3만개 가량이다. 높은 가격에 더 많은 MLCC가 전장용으로 필요한 만큼 성장성이 큰 시장인 것이다.
현재 MLCC 시장은 일본 업체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데, 시장조사업체 트렌스포스 자료에 따르면 전장용 MLCC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무라타가 41%로 가장 높고 이어 TDK(16%), 야교(14%), 타이요유덴(13%), 삼성전기(13%) 순이다.
김위헌 상무는 "MLCC를 만들 때 가장 핵심이 되는 건 원자재인데 삼성전기는 원자재 수급에 있어 회사 안에서 직접 제작하고 만들 수 있어 그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회사가 IT기반으로 출발해 전장으로 많이 올라 온 상태고, 향후 AI 서버 등의 시장으로 가게 되면 IT용 MLCC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좋은 역량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삼성전기는 MLCC의 핵심 원료인 '세라믹파우더'를 자체 공급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는데, 유전체 세라믹파우더를 나노(nm·1nm는 10억분의 1m) 단위 수준으로 미세화해 고용량을 구현했다.
김위헌 상무는 "대외적으로 올해 1조원 정도 MLCC 매출을 가져가는 것을 목표로 가지고 있다"면서 "전기차 시장은 성장이 주춤하고 있지만, 전기차의 다양한 종류 종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많이 성장했고 앞으로도 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