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신흥시장, 97년 위기재연 논란…한국은 상대적 '양호'

기사등록 : 2015-09-17 09:3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맥쿼리 "97년보다 심각" vs IMF "오히려 성장 기회"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에 비견될 만한 최근 신흥시장 혼란을 두고 엇갈린 진단이 나오고 있다.

16일(현지시각) 맥쿼리는 지난 1997년 위기가 신흥시장에 심장마비와 같은 충격을 초래했다면 지금의 상황은 만성 심혈관 질환에 비유된다며 고통이 서서히 더 장기적으로 확산될 것이란 예상을 제기했다.

지난 아시아 외환위기가 태국 바트화에 대한 투기세력의 공격으로 시작돼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통화 평가 절하로 급속히 확대됐다면 현재의 위기는 달러 강세에서 비롯된 이머징 매도세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비용은 더 크다는 설명이다. 게다가 상품가격 하락이나 교역 둔화와 같은 상황이 신흥시장에 추가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런 우려를 일축하고 있다. 노무라와 캐피탈이코노믹스 등도 과거와 비교해 펀더멘털한 면에서 개선된 상황이라면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 맥쿼리 "지금 신흥시장은 만성질환"

맥쿼리의 분석가들은 신흥시장이 1997년 급성 심장마비 충격을 겪은 것과는 달리 지금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완치 가능성은 제한된 채 이따금씩 (완전한 심장마비 보다는 충격이 덜한) 심각한 재발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신흥시장이 겪을 고통이 더 크고 오래될 것이란 주장으로 국가나 기업 차원에서 경색 조짐이 조금만 감지돼도 신흥시장 전체가 쉽게 마비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외환위기 직후 각국 통화완화와 중국의 글로벌 교영 시스템 참여 덕분에 글로벌 차입이나 유동성, 교역이 순식간에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시장 충격이 제한됐던 1997년과 달리 지금부터 앞으로 5~10년 정도는 그러한 우호적 여건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대외변수에 따른 국가별 취약성 (왼쪽일수록 취약도가 낮은 양호한 국가들) 
<출처=맥쿼리/블룸버그 재인용>

맥쿼리는 국내총생산(GDP)이나 대외채무, 경상수지 적자 수준 등을 고려했을 때 위기가 가장 장기화할 국가들로 터키, 남아공, 말레이시아를 꼽았다. 반면 중국과 필리핀, 한국은 여건이 그나마 양호한 것으로 평가했다. 브라질과 러시아도 차트상으로는 양호한 편이지만 대외채무에 대한 익스포저가 낮아 상품가격 하락과 교역 둔화에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 IMF 등 "동남아 국가 충격흡수 버퍼 충분"

하지만 신흥국 외환시장이 위기 수준으로 약화된 것은 맞지만 우려할 만한 경제적 파급력은 갖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경우 통화약세가 위기가 아니라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 97년과 비교해 대외 채무부담이 줄었고 변동 환율제 채택이 늘어난데다 외환보유고도 확대되면서 위기 대응력이 개선됐고, 대부분의 동남아 국가들은 경상수지 흑자로 돌아섰다는 것이다.

노무라 증권 기노시타 토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997년과 비교해 펀더멘털이 달라졌다"며 "당국이 상당히 엄격하고 신중한 외환위기 방지 정책들을 도입했기 때문에 통화 약세는 오히려 수출과 전반적인 국가 경쟁력 개선에 보탬이 된다"고 말했다.

외환위기 이후 동남아 국가들 외환보유고 확대됨 
<출처=IMF/블룸버그 재인용>
DBS그룹 홀딩스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와 한국은 1998년 이후 매년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인도네시아와 태국의 경우 외환보유고가 18년 전에 비해 각각 5배와 6배가 늘었다. 이들 국가들의 대외채무도 1997년 GDP의 60% 수준에서 11%까지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국장을 지낸 아눕 싱은 "(충격을 흡수할) 버퍼가 많이 생겼기 때문에 아시아 위기가 재현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이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는 것도 아시아 지역 및 글로벌 경제에는 호재"라고 평가했다.

캐피탈 이코노믹스 선임 아시아 이코노미스트 다니엘 마틴은 "아시아 경제 전망을 우려할 큰 이유가 없다"며 "이 지역은 계속해서 전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